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6
어제:
783
전체:
770,106

坐 礁

2013.07.09 20:19

이규 조회 수:1903


坐자리좌
礁암초초


 배가 암초에 얹힘

 

  中國 사람들은 예부터 寢臺와 椅子生活을 해왔지만 아주 오랜 옛날에는 그들도 맨 땅 위에 앉았다.坐가 土(흙)위에 두 사람(人)이 있는 것으로도 알수 있다. 즉 땅바닥 위에 두 사람이 마주 보고 앉아 있는 模襲이다.따라서坐는 「앉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좌불안석(坐不安席)․좌선(坐禪)․좌시(坐視)․좌판(坐板)․대좌(對坐)․연좌농성(連坐籠城)이 있다.參考로「座」는 室內에 앉은 것이다.父系秩序가 嚴格했던 옛날에는 집 안에 사람마다 앉는 곳이 一定했으므로 後에 座 는 「자리」「좌석」「지위」를 뜻하게 되었다.
  礁는 石(돌 석)과 焦(태울 초)의 結合이다. 곧 돌(石)이 우뚝 솟은 것(焦)이 礁로 바다에 떠 있는 「暗礁」를 뜻한다.暗礁는 모두 돌로 이루어져있으며, 그것도 완만한 것보다도 우뚝 솟은 것이 많았기 때문이다.산호초(珊瑚礁)․암초(暗礁)․환초(環礁)가 있다.
 따라서 坐礁라면 「암초 위에 앉았다」는 뜻이 된다.그것은 지나던 배가 風浪이나 기관고장으로 方向을 잡지 못하고 그만 暗礁에 부딪히거나 얹힌 것을 뜻한다.물론 暗礁 위에 앉는 것은 새도 있다.그러나 그것은 새(鳥)가 우뚝솟은 산(山)에 앉은 것과 같다고 하여 島(섬 도)라고 했다.
  이번 颱風으로 거대한 油槽船이 南海岸에 坐礁되어 기름이 流出되는 바람에 被害가 擴散되고 있다.世界的인 淸淨海域이 汚染海域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99
103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104
102 快 擧 이규 2013.07.21 2105
10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106
100 苦 杯 이규 2013.08.03 2109
99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111
98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127
97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129
96 改 閣 이규 2013.08.26 2130
95 文 獻 셀라비 2014.03.03 2131
94 사리 셀라비 2015.04.18 2137
93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140
92 人 倫 이규 2013.07.29 2141
91 千字文 이규 2013.10.12 2145
90 杜鵑 이규 2013.03.20 2147
89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150
88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153
87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155
86 問 鼎 이규 2013.11.23 2156
85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