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96
어제:
286
전체:
767,030

한자 道 路

2013.08.17 21:54

이규 조회 수:1985

道 路

 

 

 

 

(움직일 착)(머리 수)結合이므로 얼굴을 들고 보무(步武)도 당당하게 걸어갈 수 있는 이다. 도덕(道德)도의(道義)정도(正道)차도(車道)가 있다. 한편 (발 족)(각각 각)結合이므로제각기() 걸어갈 수 있는()이 되겠다. 노면(路面)노정(路程)가로(街路)통로(通路)가 있다. 이처럼 둘 다 을 뜻하므로 지금은 그저 道路라고 하지만 옛날에는 그 區別嚴格했다. 둘 다 한 方向으로 통하는길을 뜻하지만 는 수레 두 대는 세 대가 다닐 수 있는 길이다. 따라서차선이라면 차선인 셈이다. 보다 더 넓은 길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항로(航路)해로(海路)활주로(滑走路)가 그렇다. 우리는 고속도로(高速道路)라고 부르지만 중국 사람들은 고속공로(高速公路)라고 한다. 물론 길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것을 뜻하는 漢字도 각기 다르다. 네거리를가()골목길을 항()산속의 조그만 小路 길을 혜()논밭길을 경()이라고 했다. 소나 말이 겨우 다닐 정도로 좁았으므로 지름길로 도쓰였다. 첩경(捷徑)이 있다. 재미있는 것은 行政區域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中國 唐나라 때는 從前로 바꾸고, 전국을 10로 나누었다. 現在에 해당한다. 물론 一定地域을 잇는 길을 따라 區劃했다. 나라에 오면 로 바뀌게 된다. 制度나라에 오면서 廢止되고 現在으로 바뀌었다. 우리는 지금도 를 사용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906
40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39
40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926
40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050
40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91
39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556
39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618
39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908
39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82
39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937
3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843
39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82
39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69
391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796
390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717
38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928
38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93
387 杜 撰 셀라비 2014.07.10 1704
38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729
385 投 抒 셀라비 2014.07.03 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