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04
어제:
1,186
전체:
764,493

傾 聽

2013.07.03 21:38

이규 조회 수:1531


傾기울경
聽들을청


 귀 기울여 말하는 것을 들음

 


 傾聽은 경이이청(傾耳而聽)의 준말로 「귀를 기울여 듣는 것」을 말한다.지금은 좋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본디는 그렇지 않았다.周나라 때의 禮에관한 經典인 『예기(禮記)』를 보면 어린이가 傾聽하는 것은 금기(禁忌)로 꼽혔다.어른이 말씀하시는데 머리를 비스듬히 기울여 듣다니….또 옛날에는 大衆集會가 거의 없었으므로 傾聽의 機會가 많지 않았다.대신 귓속말로 속삭이거나 남의 말을 엿듣는 경우에 귀를 기울여야 했으므로 傾聽이 좋은 뜻으로 사용될 리 없었다.
 그런 傾聽이 百姓들간에 盛行했던 적이 있었다. 秦나라는 秦始皇부터 2대에 걸쳐 暴政으로 惡名을 떨쳤다.苛酷한 法으로 百姓들을 꼼짝 못하게 만들었다.그 結果 賢者는 많았지만 그 누구도 감히 天子의 暴惡無道함을 諫하는 者는 없었다.그랬다가는 족형(族刑․三族을 멸하는 형벌)을 당하기 때문이었다.대신 盛行한 것이 傾聽의 風潮였다.百姓들은 만나기만 하면 다들 귀를 기울여 秦나라가 亡해가는 消息을 속삭이면서 內心 快哉를 불렀던 것이다.이제 秦의 滅亡은 必然이 되었다.한동안 우리나라에서도 「유비통신(流蜚通信)」이라는 것이 盛行했던 적이 있었다.言路를 틀어막고 耳目을 封鎖했으므로 與論이 地下로 潛伏했다.間或 活字化되어 流布되기도 했지만 다들 만나면 수군거렸다.또 하나의傾聽이었던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歸 順 이규 2013.07.23 1896
143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900
142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01
141 幣 帛 이규 2013.10.13 1902
140 審判 이규 2012.10.30 1903
139 淸 貧 yikyoo 2014.06.15 1903
138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05
137 猪 突 이규 2013.11.27 1906
136 花 信 셀라비 2013.08.02 1908
135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910
134 國會 이규 2012.11.07 1914
133 櫛 比 이규 2013.08.08 1915
132 雲 集 이규 2013.08.09 1915
131 奇蹟 이규 2012.12.06 1917
130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19
129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921
128 道 路 이규 2013.08.17 1923
127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28
126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28
125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