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23
어제:
1,186
전체:
764,512

烏有先生

2013.06.26 21:43

이규 조회 수:1602


烏까마귀오
有있을유
先먼저선
生날생

 

 

 상식적으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사람

 


 까마귀는 온통 검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다들『왜 그럴까』를 連發했다. 결국 글자도 鳥(새 조)에서 점(`․눈을 뜻함)이 하나 빠진 「烏」자로 만들었다. 곧 烏의 본디 뜻은 「까마귀」지만(烏飛梨落,烏合之卒,長頸烏喙등)「검다」는 뜻도 있으며(烏骨鷄),「왜」「어찌」라는 强한 疑問의 뜻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烏有」는 「어찌 있을 수 있으랴」가 되며, 烏有先生은「常識的으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사람」이라는 뜻이 된다.
 사마상여(司馬相如)는 한무제(漢武帝)때 살았던 희대(稀代)의 풍류문인(風流文人)이다. 그가 武帝에게 바친 상림부(上林賦)는 사냥에 빠진 武帝를 은근히 풍간(諷諫)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초(楚)의 使臣으로 제(齊)나라에 간 자허(子虛)가 제왕(齊王)과 사냥하면서 서로 自國의 사냥터가 더 크고 豪華롭다고 誇張하자 烏有先生이 子虛를 꾸짖고,또 이를 지켜본 무시공(無是公)이라는 者가 나서서 양비론(兩非論)을 편다는 內容이다. 百姓의 苦痛은 생각하지 않고 사냥에만 빠져있는 두 나라의 國王은 옳지 않다는 뜻에서다. 재미있는 것은 登場人物들의 이름이다. 子虛나 烏有先生,그리고 無是公은 모두「이런 사람은 없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前職 大統領의 秘資金 때문에 큰 波長이 일고 있다. 한동안「우째 이런일이!」가 유행하더니, 이제는「우째 이런 사람이!」가 流行이다. 그럴듯한 地位와 體面에도 不具하고 常識的으로는 도저히 理解하기 힘든 行爲를 일삼는 者가 많은 것 같다. 모두 現代版 「烏有先生」들이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小 心 셀라비 2014.02.13 1680
203 出 嫁 이규 2013.12.03 1677
202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677
201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676
200 讀 書 이규 2013.06.30 1676
199 脾 肉 셀라비 2014.02.10 1675
198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75
197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670
19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68
195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666
194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665
193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664
192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664
191 杜 撰 셀라비 2014.07.10 1663
190 華 燭 셀라비 2014.06.08 1663
189 投 抒 셀라비 2014.07.03 1659
188 鳳 凰 이규 2013.06.22 1657
187 喜 悲 셀라비 2014.06.12 1656
186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56
185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