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0
어제:
1,101
전체:
763,563

前 轍

2013.06.24 20:43

이규 조회 수:1524


前앞전
轍바퀴자국철


 앞 수레의 바퀴가 남긴 자국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이자 송(宋)의 문호(文豪)였던 사람중에 소순(蘇洵)이라는 者가 있다. 우리에게는 그다지 귀에 익지 않은 人物이지만 그가 바로소동파(蘇東坡)의 아버지라고 한다면 다들 머리를 끄덕이게 될 것이다. 그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이 소식(蘇軾,호는 東坡)이고, 작은 아들이 소철(蘇轍)이다. 軾이나 轍에게는 모두 「車」자가 있으므로,「수레」와 關係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번은 蘇洵이 두 아들의 이름을 짓게된 까닭을 밝힌 적이 있다. 軾은 본디수레 앞에 가로로 걸치는 나무인데 바퀴나 굴대처럼 直接的인 機能을 遂行하진않지만 그래도 軾이 없는 수레는 있을 수 없다. 곧 蘇洵은 蘇東坡에게 「軾」처럼 얼핏 보아서는 없어도 그만인 것 같지만 막상 없으면 안되는 그런 사람이 될 것을 期待했던 것이다. 과연 蘇東坡는 그렇게 人生을 살았던 사람이다.  한편 轍은 수레의 바퀴 자국을 뜻한다. 천하의 모든 수레는 길에 나있는 바퀴 자국을 따라가야 한다. 그럼에도 다들 수레의 功을 稱頌할 뿐, 그 수레가 無事히 지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 바퀴 자국의 功을 눈여겨 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轍은 화복(禍福)을 左右한다. 만약 바른 길로 난 자국이라면 뒤 따르는 수레는 安全하겠지만 잘못 나있는 자국이라면 곤두박질치게 될 것이다. 앞서 지나간 바퀴 자국이 前轍이다. 前轍은 有益할 수도 있고,害가 될 수도 있다. 흔히 「전철을 밟지 말라」고 한다. 물론 잘못난 바퀴 자국을 두고 하는말이다. 前轍을 되풀이해 歷史의 汚名을 뒤집어 쓴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704
123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799
122 鷄 肋 이규 2014.05.15 1689
121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799
120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644
119 公 約 셀라비 2014.05.27 1612
118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756
117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599
116 娑 魚 셀라비 2014.06.03 1707
115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28
114 華 燭 셀라비 2014.06.08 1637
113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680
112 凱 旋 yikyoo 2014.06.11 1598
111 喜 悲 셀라비 2014.06.12 1640
110 淸 貧 yikyoo 2014.06.15 1878
109 富 貴 셀라비 2014.06.16 1777
108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20
107 濫 觴 셀라비 2014.06.20 1711
106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843
105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