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5
어제:
289
전체:
769,322

前 轍

2013.06.24 20:43

이규 조회 수:1609


前앞전
轍바퀴자국철


 앞 수레의 바퀴가 남긴 자국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이자 송(宋)의 문호(文豪)였던 사람중에 소순(蘇洵)이라는 者가 있다. 우리에게는 그다지 귀에 익지 않은 人物이지만 그가 바로소동파(蘇東坡)의 아버지라고 한다면 다들 머리를 끄덕이게 될 것이다. 그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이 소식(蘇軾,호는 東坡)이고, 작은 아들이 소철(蘇轍)이다. 軾이나 轍에게는 모두 「車」자가 있으므로,「수레」와 關係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번은 蘇洵이 두 아들의 이름을 짓게된 까닭을 밝힌 적이 있다. 軾은 본디수레 앞에 가로로 걸치는 나무인데 바퀴나 굴대처럼 直接的인 機能을 遂行하진않지만 그래도 軾이 없는 수레는 있을 수 없다. 곧 蘇洵은 蘇東坡에게 「軾」처럼 얼핏 보아서는 없어도 그만인 것 같지만 막상 없으면 안되는 그런 사람이 될 것을 期待했던 것이다. 과연 蘇東坡는 그렇게 人生을 살았던 사람이다.  한편 轍은 수레의 바퀴 자국을 뜻한다. 천하의 모든 수레는 길에 나있는 바퀴 자국을 따라가야 한다. 그럼에도 다들 수레의 功을 稱頌할 뿐, 그 수레가 無事히 지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 바퀴 자국의 功을 눈여겨 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轍은 화복(禍福)을 左右한다. 만약 바른 길로 난 자국이라면 뒤 따르는 수레는 安全하겠지만 잘못 나있는 자국이라면 곤두박질치게 될 것이다. 앞서 지나간 바퀴 자국이 前轍이다. 前轍은 有益할 수도 있고,害가 될 수도 있다. 흔히 「전철을 밟지 말라」고 한다. 물론 잘못난 바퀴 자국을 두고 하는말이다. 前轍을 되풀이해 歷史의 汚名을 뒤집어 쓴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如意 이규 2012.12.04 3265
443 焦眉 이규 2012.12.05 1674
442 奇蹟 이규 2012.12.06 1996
441 覇權 이규 2012.12.08 1244
440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37
43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46
438 民心 이규 2012.12.09 1572
437 同盟 이규 2012.12.10 1440
436 賂物 이규 2012.12.11 1494
435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691
434 電擊 이규 2012.12.13 1215
433 兩立 이규 2012.12.13 1553
432 不惑 이규 2012.12.17 1691
431 犧牲 이규 2012.12.18 1350
430 管轄 이규 2012.12.20 1667
429 氾濫 이규 2012.12.26 1461
428 人質 이규 2012.12.27 1589
427 籌備 이규 2012.12.28 1610
426 憲法 이규 2012.12.29 1208
425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