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24
어제:
783
전체:
770,084

侍 墓

2013.06.21 21:09

이규 조회 수:1621



侍모실시
墓무덤묘


 부모 상중에 무덤을 지킴

 


  사(寺)는 본디 한(漢)나라의 「관청」또는 高官들 관사(官舍)였다.後에 印度의 고승(高僧,곧 摩騰과 竺法)이 佛敎를 전할 때 백마사(白馬寺)에 寄居토록 하면서부터 寺는「절」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곧 侍는 官廳에 勤務하는 사람, 곧 관리(官吏)를 뜻했다. 늘 왕명(王命)을 받들어야 했으므로 「받들다(承)」는 뜻을 가지고 있다.시녀(侍女)․시립(侍立)․시종(侍從)․내시(內侍)가 있다.
  墓는 「어두운(莫․暮와 같음)땅(土)」,곧 「무덤」이다. 예부터 사람이 죽으면 어두운 暗黑世界로 든다고 여겼다. 명복(冥福,죽은 이의 복)․명부(冥府,저승)․명왕(冥王,염라대왕)․ 유명(幽冥,저승)이 있다. 그러니까 侍墓는 父母님의 묘소(墓所)를 지키는 것이다. 父母가 돌아가시면 상주(喪主)는먼저 부고(訃告,訃音을 알림)하고 치상(治喪,장례준비)에 들어간다. 治喪이끝나면 3년 거상(居喪)에 들어간다.後에 1백일로 줄었다가 요즈음에는 49일로 短縮됐다.이 때에는 哀痛한 마음과 함께 행동거지(行動擧止)를 조심하고 父母의 恩德을 기렸다.부모님의 喪이 不孝에서 비롯 된다고 여겨 3년간「불효」를 뉘우쳤으며 혹 무덤 옆에다 幕을 치고 함께 살았는데, 그것이 侍墓다.일명 여묘(廬墓)․거려(居廬)라고도 했는데, 父母에 대한 가장 孝誠스런 行爲로여겼다. 굳이 3년으로 정한 것은 태어나 3년간의 양육(養育)을 거쳐야 비로소 「人間」이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925
283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49
282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833
281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136
280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166
279 問 津 이규 2013.10.25 1937
278 效 嚬 셀라비 2013.10.24 1954
277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2024
276 義 擧 이규 2013.10.21 1829
275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821
274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23
273 發祥地 이규 2013.10.20 2083
272 箴 言 이규 2013.10.19 1915
271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110
270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037
269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926
268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99
267 幣 帛 이규 2013.10.13 2005
266 千字文 이규 2013.10.12 2144
265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