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6
어제:
305
전체:
766,509

侍 墓

2013.06.21 21:09

이규 조회 수:1569



侍모실시
墓무덤묘


 부모 상중에 무덤을 지킴

 


  사(寺)는 본디 한(漢)나라의 「관청」또는 高官들 관사(官舍)였다.後에 印度의 고승(高僧,곧 摩騰과 竺法)이 佛敎를 전할 때 백마사(白馬寺)에 寄居토록 하면서부터 寺는「절」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곧 侍는 官廳에 勤務하는 사람, 곧 관리(官吏)를 뜻했다. 늘 왕명(王命)을 받들어야 했으므로 「받들다(承)」는 뜻을 가지고 있다.시녀(侍女)․시립(侍立)․시종(侍從)․내시(內侍)가 있다.
  墓는 「어두운(莫․暮와 같음)땅(土)」,곧 「무덤」이다. 예부터 사람이 죽으면 어두운 暗黑世界로 든다고 여겼다. 명복(冥福,죽은 이의 복)․명부(冥府,저승)․명왕(冥王,염라대왕)․ 유명(幽冥,저승)이 있다. 그러니까 侍墓는 父母님의 묘소(墓所)를 지키는 것이다. 父母가 돌아가시면 상주(喪主)는먼저 부고(訃告,訃音을 알림)하고 치상(治喪,장례준비)에 들어간다. 治喪이끝나면 3년 거상(居喪)에 들어간다.後에 1백일로 줄었다가 요즈음에는 49일로 短縮됐다.이 때에는 哀痛한 마음과 함께 행동거지(行動擧止)를 조심하고 父母의 恩德을 기렸다.부모님의 喪이 不孝에서 비롯 된다고 여겨 3년간「불효」를 뉘우쳤으며 혹 무덤 옆에다 幕을 치고 함께 살았는데, 그것이 侍墓다.일명 여묘(廬墓)․거려(居廬)라고도 했는데, 父母에 대한 가장 孝誠스런 行爲로여겼다. 굳이 3년으로 정한 것은 태어나 3년간의 양육(養育)을 거쳐야 비로소 「人間」이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00
403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06
402 妥結 이규 2012.12.02 1512
401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13
400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13
399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13
398 割據 셀라비 2012.11.09 1516
397 封套 이규 2012.11.19 1516
396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22
395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22
394 兩立 이규 2012.12.13 1524
393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24
392 颱 風 이규 2013.07.12 1526
391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30
390 民心 이규 2012.12.09 1532
389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32
388 景福 셀라비 2012.10.31 1534
387 似而非 이규 2013.03.21 1535
386 省墓 이규 2012.11.01 1537
385 跛行 이규 2013.03.18 1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