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39
어제:
289
전체:
768,716

侍 墓

2013.06.21 21:09

이규 조회 수:1606



侍모실시
墓무덤묘


 부모 상중에 무덤을 지킴

 


  사(寺)는 본디 한(漢)나라의 「관청」또는 高官들 관사(官舍)였다.後에 印度의 고승(高僧,곧 摩騰과 竺法)이 佛敎를 전할 때 백마사(白馬寺)에 寄居토록 하면서부터 寺는「절」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곧 侍는 官廳에 勤務하는 사람, 곧 관리(官吏)를 뜻했다. 늘 왕명(王命)을 받들어야 했으므로 「받들다(承)」는 뜻을 가지고 있다.시녀(侍女)․시립(侍立)․시종(侍從)․내시(內侍)가 있다.
  墓는 「어두운(莫․暮와 같음)땅(土)」,곧 「무덤」이다. 예부터 사람이 죽으면 어두운 暗黑世界로 든다고 여겼다. 명복(冥福,죽은 이의 복)․명부(冥府,저승)․명왕(冥王,염라대왕)․ 유명(幽冥,저승)이 있다. 그러니까 侍墓는 父母님의 묘소(墓所)를 지키는 것이다. 父母가 돌아가시면 상주(喪主)는먼저 부고(訃告,訃音을 알림)하고 치상(治喪,장례준비)에 들어간다. 治喪이끝나면 3년 거상(居喪)에 들어간다.後에 1백일로 줄었다가 요즈음에는 49일로 短縮됐다.이 때에는 哀痛한 마음과 함께 행동거지(行動擧止)를 조심하고 父母의 恩德을 기렸다.부모님의 喪이 不孝에서 비롯 된다고 여겨 3년간「불효」를 뉘우쳤으며 혹 무덤 옆에다 幕을 치고 함께 살았는데, 그것이 侍墓다.일명 여묘(廬墓)․거려(居廬)라고도 했는데, 父母에 대한 가장 孝誠스런 行爲로여겼다. 굳이 3년으로 정한 것은 태어나 3년간의 양육(養育)을 거쳐야 비로소 「人間」이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902
183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906
182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907
181 寒心 이규 2012.11.10 1911
180 獨 對 이규 2013.12.08 1911
179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913
178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913
177 會 計 이규 2013.08.05 1915
176 火 箭 이규 2013.08.20 1916
175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918
174 問 津 이규 2013.10.25 1919
173 動 亂 이규 2013.09.16 1920
172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920
171 黃 砂 이규 2013.07.18 1923
170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925
169 破 綻 셀라비 2014.02.28 1926
168 破 格 이규 2013.10.07 1928
167 效 嚬 셀라비 2013.10.24 1932
166 鴛 鴦 이규 2013.12.01 1934
165 完璧 셀라비 2014.03.12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