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69
어제:
286
전체:
767,673

誘 致

2013.06.17 20:54

이규 조회 수:1663


誘꾀일유
致이를치


 권유하여 끌어 옴

 

  誘는 言(말씀 언)과 秀(빼어날 수)의 결합이므로 말로 잘  타일러 사람을 훌륭하게 만드는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聖人의 말씀과 같은 敎訓的인 말이 必要하다. 여기서 誘는 「가르치다」「인도하다」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유도(誘導)․권 유(勸誘)가 있다. 이처럼 誘는 본디 「좋은 뜻」을 가지고 있었지만 後에 고약한 사람들이 감언이설(減言利說)로 상대방을「꾀다」는 뜻으로 사용했다. 유괴(誘拐)․유인(誘引)․유혹(誘惑)이 그런 경우다.
  致는 본디 至(이를 지)와 (천천히걸을 쇠)의 結合으로 예물(禮物)을 바치기 위해 가는 것을 뜻했다. 따라서 어떤 目的地에 「닿다」「이르다」는 뜻을 갖고 있다. 치명상(致命傷)․치부(致富 )․극치(極致)․송치(送致)․초치(招致)가 있다.
  곧 誘致라면 誘導招致의 준말로 본디 「꾀어서 끌어오는 것」을 뜻한다. 물론 좋은 뜻이 아니었다. 곧 미끼를 던져 相對를 속여 들이는 것을 뜻했던 것이다. 대체로 敵軍을 誘引한다든지 怨讐를 꾀어 잡아들일 때 사용하던 말이었다. 그것이 지금은 좋은 뜻으로 사용돼 「권하여 끌어오는 것」으로 바뀌었다. 漢字에서 흔히 볼 수 있는 意味의 變質인 것이다. 지금 2002년 월드컵 開催地 決定에 따른 韓․日間의 誘致 競爭이 막바지에 이른 느낌이다.그동안 많은 勞力을 기울였던 만큼 꼭 우리나라로 誘致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崩壞 이규 2013.01.13 1201
463 憲法 이규 2012.12.29 1204
462 電擊 이규 2012.12.13 1207
461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210
460 變姓名 이규 2013.01.22 1216
459 葡萄 이규 2013.01.09 1223
458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224
457 覇權 이규 2012.12.08 1234
45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51
455 汚染 이규 2013.01.24 1262
454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74
453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80
45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13
451 露 骨 이규 2013.05.29 1313
450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25
449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28
448 犧牲 이규 2012.12.18 1343
447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354
446 飜覆 이규 2013.01.29 1370
445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