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31
어제:
257
전체:
762,333

至孝

2012.10.29 19:41

이규 조회 수:1905

至 지극할 지
孝 효도   효

 

지효- 지극한 효성

 

至孝는 ‘지극한 효성’이다. ‘大孝’라고도 한다.
 曾子는 孔子의 3천 제자중 에서도 首弟子로 꼽힌다.  다소 둔하기는 했지만 孝行 하나만은 뛰어나 孔子가 더욱 가르침을 주어 [孝經]을 짓도록 하였다.
 자연히 孝에 관한 일화(逸話)도 많다. 한번은 참외밭을 매다 뿌리를 뽑았다고 하여 아버지로 부터 몽둥이로 맞아 까무러치고 말았다.  그러나 曾子는 웃는 빛을 띠면서 말했다.  “너무 힘껏 훈계(訓戒)하셔서 혹 病患이나 나시지 않으셨습니까” 하고는 거문고를 타면서 신나게 노래를 불렀다.
 그러나 스승 孔子는 ‘불효 막심한 놈’이라고 야단쳤다.  그러다 정말 죽었다면 이보다 더한 不孝는 없지 않겠느냐는 것이었다.  이쯤되면 孔子의 孝는 한차원 더 높은 셈이다.
 또 齊나라에서 그를 불렀지만 늙은 父母를 모시고 있다면서 拒絶했는가 하면 아내가 부모의 朝夕床에 덜 익힌 나물을 올렸다고 해서 쫒아내고는 평생을 獨身으로 지내기도 했다.
 물론 극단적인 예가 되겠지만 시사(示唆)하는 바가 적지 않다.  父母를 서로 모시지 않겠다고 하여 문제가 심각하자 남이 扶養한 다음 扶養費를 請求할 수 있도록 立法 조치를 講究 한적도 있었다.  曾子를 參考로 하였으면 좋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輻輳 이규 2013.01.02 1093
423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080
422 蠶室 이규 2013.01.05 1117
421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065
420 葡萄 이규 2013.01.09 1134
419 崩壞 이규 2013.01.13 1110
418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063
417 籠絡 이규 2013.01.15 1049
416 伯仲勢 이규 2013.01.16 1074
415 左遷 이규 2013.01.17 1111
414 出師表 이규 2013.01.18 1101
413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01
412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040
411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193
410 變姓名 이규 2013.01.22 1128
409 納凉 이규 2013.01.23 1081
408 汚染 이규 2013.01.24 1175
407 香肉 이규 2013.01.25 1042
406 波紋 이규 2013.01.27 1326
405 赦免 [1] 이규 2013.01.27 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