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37
어제:
1,101
전체:
763,440

九牛一毛

2013.06.11 20:55

이규 조회 수:1496

九아홉구
牛소우
一한일
毛털모


 매우 하찮음


  中國을 最初로 統一한 사람은 진시황(秦始皇)이지만 한무제(漢武帝)는 그보다 몇배나 더 큰 땅을 차지했다.그러나 북쪽에 있는 흉노(匈奴)만은 큰 골치거리였다.그래서 장군 이릉(李陵)을 시켜 치게 했지만 오히려 패해 降伏하고 말았다.武帝의 憤怒는 하늘을 찌를듯 했고 다들 李陵을 逆賊으로 몰아 붙였다.그러나 친구였던 사마천(司馬遷)만은 客觀的인 狀況을 들어 그를 두둔하고 나섰다.怒發大發한 武帝는 그를 당장 下獄시키라고 했다.
  그러던 어느날 간신 두주(杜周)가 司馬遷이 恨을 품고 있다고 무고(誣告)하자 武帝는 司馬遷에게 부형(腐刑․宮刑이라고도 함․남자의 성기를 자르는 것)을 내리고 말았다.司馬遷은 極度의 恥辱을 느낀 나머지 自殺을 생각했다.그러나 아버지 사마담(司馬談)의 遺言(中國 最初의 通史를 쓰는 것)이 있었으므로 이렇게 죽는다면 아홉 마리의 소(九牛)중에서 털 하나(一毛)를 뽑아버린 것에 불과할 정도로 하찮은 죽음이 될 것이다.同情은 커녕 많은 사람이 비웃을 것인 즉 그 名譽는 누가 報償해 줄 것인가.그는 自身의 心情을 親舊 임소경(任少卿)에게 便紙로 알렸다(報任少卿書).
  구우일모(九牛一毛)는 여기서 나온 말로「매우 하찮은 것」을 뜻한다.마침내그는 自殺을 斷念하고 恥辱을 감수한 채 통사(通史)의 著述에 매달렸다.不朽의 名著 [사기(史記)] 는 이렇게 하여 태어났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689
143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28
142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295
141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85
140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07
139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743
138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434
137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651
136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15
135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701
134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13
133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13
132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47
131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210
130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575
129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768
128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186
127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882
126 沐浴 [1] 이규 2013.04.08 1912
125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