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30
어제:
257
전체:
762,032

九牛一毛

2013.06.11 20:55

이규 조회 수:1450

九아홉구
牛소우
一한일
毛털모


 매우 하찮음


  中國을 最初로 統一한 사람은 진시황(秦始皇)이지만 한무제(漢武帝)는 그보다 몇배나 더 큰 땅을 차지했다.그러나 북쪽에 있는 흉노(匈奴)만은 큰 골치거리였다.그래서 장군 이릉(李陵)을 시켜 치게 했지만 오히려 패해 降伏하고 말았다.武帝의 憤怒는 하늘을 찌를듯 했고 다들 李陵을 逆賊으로 몰아 붙였다.그러나 친구였던 사마천(司馬遷)만은 客觀的인 狀況을 들어 그를 두둔하고 나섰다.怒發大發한 武帝는 그를 당장 下獄시키라고 했다.
  그러던 어느날 간신 두주(杜周)가 司馬遷이 恨을 품고 있다고 무고(誣告)하자 武帝는 司馬遷에게 부형(腐刑․宮刑이라고도 함․남자의 성기를 자르는 것)을 내리고 말았다.司馬遷은 極度의 恥辱을 느낀 나머지 自殺을 생각했다.그러나 아버지 사마담(司馬談)의 遺言(中國 最初의 通史를 쓰는 것)이 있었으므로 이렇게 죽는다면 아홉 마리의 소(九牛)중에서 털 하나(一毛)를 뽑아버린 것에 불과할 정도로 하찮은 죽음이 될 것이다.同情은 커녕 많은 사람이 비웃을 것인 즉 그 名譽는 누가 報償해 줄 것인가.그는 自身의 心情을 親舊 임소경(任少卿)에게 便紙로 알렸다(報任少卿書).
  구우일모(九牛一毛)는 여기서 나온 말로「매우 하찮은 것」을 뜻한다.마침내그는 自殺을 斷念하고 恥辱을 감수한 채 통사(通史)의 著述에 매달렸다.不朽의 名著 [사기(史記)] 는 이렇게 하여 태어났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01
103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02
102 至孝 이규 2012.10.29 1904
101 問 鼎 이규 2013.11.23 1904
100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06
99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07
98 發祥地 이규 2013.10.20 1907
97 苦 杯 이규 2013.08.03 1912
96 改 閣 이규 2013.08.26 1913
95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18
94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23
93 人 倫 이규 2013.07.29 1925
92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31
91 사리 셀라비 2015.04.18 1934
90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35
89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36
88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43
87 持 滿 이규 2013.11.28 1955
86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1958
85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