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3
어제:
1,101
전체:
763,556

國 家

2013.06.10 21:48

이규 조회 수:1436

國나라국
家집가


 농경시대 땅의 경계선

 

  國은 一定한 구역(口)의 땅(一․지평선)에 사람(口․입)이 살고 있고, 그들을 保護하기 위해 武器(戈․창․군대)를 갖추고 있는 模襲이다.재미있는 것은 甲骨文에는 창과 사람뿐이다.그저 猛獸로부터 사람을 保護하면 足했던 것이다.後에 定着生活로 農耕地가 必要했다.하지만 淳朴했던 데다 肥沃한 땅이 널려 있었으므로 境界線도 必要없었는데 이때의 國자가 혹(或)이다.後에「혹시」의 뜻으로 전용(轉用)되었으므로 땅을 뜻하는 「토(土)」자를 덧붙여 역(域)자를 만들었다.
 나중에 오면 慾心이 생겨 남의 땅을 넘보기 시작했다.따라서 境界線이 必要하기는 했지만 分明하지 않아도 됐다.그래서 四角形이 아닌 圓形에 가까웠다.
그러나 다시 그 뒤에 오면 人心이 매우 사나워져 國境線도 分明하게 그을 必要가 있었다.그것이 현재의 國자로 완벽한 正四角形(口)模襲을 하고 있다.이때부터는 단 한 뼘의 땅도 讓步하지 않게 되었다.
  人類는 이제 農耕定着生活을 하면서 家畜도 기르게 되었다.家는 집밑에 돼지(豕)가 있는 模襲이다.먼 옛날에는 사람이 돼지와 함께 한 집에서 살았음을 의미한다.지금도 東南亞나 아마존강의 오지(奧地)에 가보면 家畜과 함께 사는 原住民들을 볼 수 있다.또 한가지 알 수 있는 것은 家畜중에 돼지를 第一 먼저 길렀다는 사실이다.이처럼 漢字를 익히면 옛 人類의 삶까지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品 評 셀라비 2014.06.24 1712
103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664
102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664
101 洞 房 셀라비 2014.07.02 1728
100 投 抒 셀라비 2014.07.03 1632
99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45
98 杜 撰 셀라비 2014.07.10 1633
97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12
96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51
95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629
94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719
93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08
9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14
91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67
9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59
89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24
88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19
87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30
8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80
85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