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8
어제:
257
전체:
762,390

七縱七擒

2013.06.06 21:28

이규 조회 수:1874

七일곱칠
縱길이종
七일곱칠
擒문막은목책금

 

 마음대로 잡고 놓아주는 비상한  재주


  유비(劉備)는 病勢가 惡化되자 제갈량(諸葛亮)을 불러 遺言을 남겼다.철천지 원수 위(魏)를 쳐서 中原을 收復할 것과 아들 유선(劉禪)을 잘 보필(輔弼)해 달라는 것이었다.
 劉備가 죽자 諸葛亮은 劉禪을 極盡히 輔弼했다.그 때 各地에서 反亂이 일어났는데, 가장 큰 골치거리는 西南方의 오랑캐였다.諸葛亮은 內亂부터 收拾해야 했다.그는 이간책(離間策)을 사용해 맹획(孟獲)이라는 將帥를 사로 잡았다.하지만 그를 죽이는 것이 能事는 아니었다.유명한 마속(馬謖)의 建議가 있었던 것이다.여기서 [三國志]의 一部를 잠깐 引用해 보자.
   「무릇 용병(用兵)의 도리는 最上이 民心을 공략하는 것이며 그 다음이 城을 陷落시키는 것입니다.곧 心理戰이 最上이요,軍事戰은 下策일 따름입니다.원컨대 승상께서는 그들의 마음을 征服하십시오.」
 諸葛亮은 孟獲을 풀어 주었다.하지만 故鄕에 돌아온 孟獲은 戰列을 再整備해또 다시 反亂을 일으켰다.물론 諸葛亮은 자신의 智略을 利用해 孟獲을 사로잡았지만 그때마다 풀어 주었다.이렇게 사로 잡았다 풀어 주기를 일곱번(七縱七擒),마침내 孟獲은 諸葛亮에게 심복(心服․마음속으로 복종함)해 部下가 되기를 自請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輻輳 이규 2013.01.02 1093
423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081
422 蠶室 이규 2013.01.05 1121
421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066
420 葡萄 이규 2013.01.09 1135
419 崩壞 이규 2013.01.13 1111
418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066
417 籠絡 이규 2013.01.15 1050
416 伯仲勢 이규 2013.01.16 1076
415 左遷 이규 2013.01.17 1113
414 出師表 이규 2013.01.18 1104
413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03
412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043
411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195
410 變姓名 이규 2013.01.22 1130
409 納凉 이규 2013.01.23 1082
408 汚染 이규 2013.01.24 1176
407 香肉 이규 2013.01.25 1044
406 波紋 이규 2013.01.27 1330
405 赦免 [1] 이규 2013.01.27 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