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1
어제:
284
전체:
767,389

蜂 起

2013.06.05 21:33

이규 조회 수:1650

蜂벌봉
起일어날기


 성난 벌떼처럼 여기저기서 일어남

 


  蜂은 蟲(벌레 충)과 봉(마주칠 봉)의 結合이다. 山이 마주쳐 솟아 오른 것이 峰,길을 걷다가 마주치면 逢(만날 봉),쇠붙이(金,칼)끼리 마주치면 鋒(칼날 봉),불을 서로 마주쳐서 連絡을 취하는 것이 烽(봉화 봉)이다. 蜂은 벌레(昆蟲)가 마주치는(蜂)것으로 「벌」을 뜻한다. 벌이 워낙 奔走하게 날아 서로 부딪칠 것만 같다고 해 만든 글자다.
 起는 몸(己)이 달린다(走)는 뜻이다. 달리기 위해서는 먼저 일어나야 하지않을까. 그래서 「일어날 기」자가 된다.
  따라서 蜂起는 「벌이 일어나는 것」이 된다. 벌집을 잘못 건드리면 성난 벌이 떼를 지어 달려든다. 그야말로 벌떼같이 몰려와 쏜다. 따라서 蜂起라면 여기저기서 벌떼같이 일어나는 것을 뜻하게 되었다.
  진시황(秦始皇)이 죽고 아들 호해(胡亥)가 섰지만 포악과 사치는 오히려 아버지보다 한 술 더 떴다. 도저히 견딜 수 없었던 백성들이 여기 저기서 들고 일어났다. 사마천(司馬遷)은 그것을 「蜂起」로 표현했다. 마침내 진(秦)이망하고 마지막까지 남아 天下를 다루었던 자가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이다. 그러니까 두 사람은 여왕벌이었던 셈이다. 마침내 劉邦이 이겨 나라를 세우니이것이 한(漢)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如意 이규 2012.12.04 3250
443 焦眉 이규 2012.12.05 1658
442 奇蹟 이규 2012.12.06 1981
441 覇權 이규 2012.12.08 1231
440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17
43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20
438 民心 이규 2012.12.09 1549
437 同盟 이규 2012.12.10 1430
436 賂物 이규 2012.12.11 1483
435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672
434 電擊 이규 2012.12.13 1204
433 兩立 이규 2012.12.13 1536
432 不惑 이규 2012.12.17 1667
431 犧牲 이규 2012.12.18 1343
430 管轄 이규 2012.12.20 1647
429 氾濫 이규 2012.12.26 1450
428 人質 이규 2012.12.27 1565
427 籌備 이규 2012.12.28 1591
426 憲法 이규 2012.12.29 1200
425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