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5
어제:
1,101
전체:
763,488

蜂 起

2013.06.05 21:33

이규 조회 수:1579

蜂벌봉
起일어날기


 성난 벌떼처럼 여기저기서 일어남

 


  蜂은 蟲(벌레 충)과 봉(마주칠 봉)의 結合이다. 山이 마주쳐 솟아 오른 것이 峰,길을 걷다가 마주치면 逢(만날 봉),쇠붙이(金,칼)끼리 마주치면 鋒(칼날 봉),불을 서로 마주쳐서 連絡을 취하는 것이 烽(봉화 봉)이다. 蜂은 벌레(昆蟲)가 마주치는(蜂)것으로 「벌」을 뜻한다. 벌이 워낙 奔走하게 날아 서로 부딪칠 것만 같다고 해 만든 글자다.
 起는 몸(己)이 달린다(走)는 뜻이다. 달리기 위해서는 먼저 일어나야 하지않을까. 그래서 「일어날 기」자가 된다.
  따라서 蜂起는 「벌이 일어나는 것」이 된다. 벌집을 잘못 건드리면 성난 벌이 떼를 지어 달려든다. 그야말로 벌떼같이 몰려와 쏜다. 따라서 蜂起라면 여기저기서 벌떼같이 일어나는 것을 뜻하게 되었다.
  진시황(秦始皇)이 죽고 아들 호해(胡亥)가 섰지만 포악과 사치는 오히려 아버지보다 한 술 더 떴다. 도저히 견딜 수 없었던 백성들이 여기 저기서 들고 일어났다. 사마천(司馬遷)은 그것을 「蜂起」로 표현했다. 마침내 진(秦)이망하고 마지막까지 남아 天下를 다루었던 자가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이다. 그러니까 두 사람은 여왕벌이었던 셈이다. 마침내 劉邦이 이겨 나라를 세우니이것이 한(漢)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16
163 寒心 이규 2012.11.10 1817
162 妄 言 이규 2013.09.20 1817
161 破 格 이규 2013.10.07 1818
160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23
159 鴛 鴦 이규 2013.12.01 1829
158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29
157 拍 車 셀라비 2013.12.19 1835
156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35
155 家 庭 이규 2013.07.25 1837
154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838
153 瓦 解 이규 2013.08.18 1840
152 春困症 이규 2013.07.27 1843
151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43
150 選 良 이규 2013.08.07 1849
149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1849
148 中 國 이규 2013.09.03 1851
147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52
146 壓 卷 이규 2013.11.18 1854
145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