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9
어제:
783
전체:
770,129

出 馬

2013.06.04 21:52

이규 조회 수:1665

出날출
馬말마


 관리, 장수가 말을 타고 부임 또는      출전함

 


  出은 초목(草木)의 싹이 지표(地表)를 뚫고 나오는 模襲을 본뜬 글자다.그래서 「나오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출입(出入),출세(出世),돌출(突出),진출(進出)등 많다.馬는 말을 옆에서 본 다음 세워서 그린 모습이다.따라서 뜻은 「말」로서 마부(馬夫),마패(馬牌),마차(馬車),경마(競馬),승마(乘馬),천리마(千里馬)가 있다.
  따라서 出馬란 본디 「마굿간에서 말을 내오다」는 뜻이다.옛날에는 말이 重要한 交通手段이었다.임지(任地)에 나가는 官吏도 말을 타고 갔으므로 出馬라면 「임지에 나간다」는 뜻도 있다. 말의 機動性은 戰時에도 有感없이 發揮되곤 했다.指揮官을 태워 軍卒을 號令했는데, 이 때문에 명마(名馬)는 명장(名將)과 함께 일컬어지는 경우가 많다.항우(項羽)의 오추마(烏추馬)나 여포(呂布)의 적토마(赤兎馬)등.여기서 出馬는 「출전(出戰)」을 뜻하기도 했다.
 요즘 各種 選擧에 對備해 出馬하는 人士가 늘고 있다.敵을 죽이고 勝利를 爭取하겠다는 將軍의 心情으로 出馬한다기 보다, 當選이 되면 國家와 社會를 위해 열심히 일해 보겠다는 우국충정(憂國衷情)으로 出馬하는 것인 줄로 안다.그런 만큼 「出馬」는 正正堂堂,公明正大해야 하지 않을까.또 하나.지금 主要交通手段은 自動車다.그래서 出馬가 아닌 출거(出車)라고 하면 어떨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594
103 跛行 이규 2013.03.18 1593
102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91
101 討 伐 이규 2013.03.17 1590
100 景福 셀라비 2012.10.31 1590
99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89
98 民心 이규 2012.12.09 1588
97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85
96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83
95 省墓 이규 2012.11.01 1581
94 颱 風 이규 2013.07.12 1580
93 似而非 이규 2013.03.21 1576
92 兩立 이규 2012.12.13 1568
91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67
90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67
89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66
88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65
87 封套 이규 2012.11.19 1565
86 妥結 이규 2012.12.02 1564
85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