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89
어제:
1,101
전체:
763,392

正 鵠

2013.06.02 17:01

이규 조회 수:1560

正바를정
鵠과녁곡


 과녁의 한가운데. 핵심

 


 활쏘기에서 勝負를 가리기 위해서는 과녁이 있어야 한다.과녁 전체를 적(的),正四角形의 과녁 바탕을 후(侯)라고 하는데, 천으로 만들면 포후(布侯),가죽으로 만들면 피후(皮侯)라고 불렀다.侯에는 同心圓 몇개와 한가운데 검은점이 있는데 布侯면 ‘정(正)’,皮侯면 ‘곡(鵠)’이라고 했다.곧 만점짜리가 ‘정곡(正鵠)’ 셈이다.따라서 ‘正鵠을 찔렀다’는 말은 正確하게 과녁의 中心을 맞혔다는 뜻이다.‘적중(的中)’ 이라고도 한다.
 正鵠이 과녁을 뜻한 데에는 까닭이 있다.正이 옛날에는 ‘솔개’의 이름이기도 했다.작은데다 敏捷(민첩)하며 높이 날므로 활로 맞히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鵠은 ‘고니’다.이놈 역시 높이 날므로 맞히기가 매우 어렵다.따라서 과녁중 가장 맞히기 힘든 부분을 ‘正鵠’이라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混同이 있는 것같아 몇자 添附한다.鵠이 ‘과녁’을 지칭할 때는 ‘곡’이지만 ‘새’를뜻할 때는 ‘혹’으로 發音해야 한다.고니의 優雅한 姿態와 높이 나는 氣像은 사나이 大丈夫의 遠大한 抱負를 象徵한다.
 대체로 ‘기러기’를 뜻하는 ‘홍(鴻)’과 함께 홍혹(鴻鵠)이라 하며, 그 反對를 연작(燕雀․제비와 참새 즉 小人輩)이라 한다. 흔히 ‘홍곡’이라 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684
143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25
142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294
141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77
140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04
139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738
138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431
137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648
136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12
135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696
134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08
133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10
132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44
131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207
130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572
129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766
128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181
127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875
126 沐浴 [1] 이규 2013.04.08 1908
125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