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9
어제:
1,101
전체:
763,562

正 鵠

2013.06.02 17:01

이규 조회 수:1575

正바를정
鵠과녁곡


 과녁의 한가운데. 핵심

 


 활쏘기에서 勝負를 가리기 위해서는 과녁이 있어야 한다.과녁 전체를 적(的),正四角形의 과녁 바탕을 후(侯)라고 하는데, 천으로 만들면 포후(布侯),가죽으로 만들면 피후(皮侯)라고 불렀다.侯에는 同心圓 몇개와 한가운데 검은점이 있는데 布侯면 ‘정(正)’,皮侯면 ‘곡(鵠)’이라고 했다.곧 만점짜리가 ‘정곡(正鵠)’ 셈이다.따라서 ‘正鵠을 찔렀다’는 말은 正確하게 과녁의 中心을 맞혔다는 뜻이다.‘적중(的中)’ 이라고도 한다.
 正鵠이 과녁을 뜻한 데에는 까닭이 있다.正이 옛날에는 ‘솔개’의 이름이기도 했다.작은데다 敏捷(민첩)하며 높이 날므로 활로 맞히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鵠은 ‘고니’다.이놈 역시 높이 날므로 맞히기가 매우 어렵다.따라서 과녁중 가장 맞히기 힘든 부분을 ‘正鵠’이라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混同이 있는 것같아 몇자 添附한다.鵠이 ‘과녁’을 지칭할 때는 ‘곡’이지만 ‘새’를뜻할 때는 ‘혹’으로 發音해야 한다.고니의 優雅한 姿態와 높이 나는 氣像은 사나이 大丈夫의 遠大한 抱負를 象徵한다.
 대체로 ‘기러기’를 뜻하는 ‘홍(鴻)’과 함께 홍혹(鴻鵠)이라 하며, 그 反對를 연작(燕雀․제비와 참새 즉 小人輩)이라 한다. 흔히 ‘홍곡’이라 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56
103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64
102 發祥地 이규 2013.10.20 1966
10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75
100 改 閣 이규 2013.08.26 1978
99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80
98 苦 杯 이규 2013.08.03 1983
97 人 倫 이규 2013.07.29 1984
96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85
95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87
94 問 鼎 이규 2013.11.23 1989
93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93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98
91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002
90 사리 셀라비 2015.04.18 2005
89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007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008
8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15
86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21
85 千字文 이규 2013.10.12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