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29
어제:
289
전체:
769,106

席 捲

2013.05.31 22:31

이규 조회 수:2010

席자리석
捲거둘권


 멍석을 둘둘 말아 안의 물건을 남김     없이 거둠

 


  席은 庶와 巾이 結合한 후 美觀과 筆劃의 單純化를 위해 火를 省略했다.즉모임에서 많은 사람(庶)이 앉도록 만든 수건(巾)같은 것으로 ‘멍석’이 되겠다. 捲은 卷과 손(手)의 結合이다.卷이 두 손으로 물건을 마는 模襲으로 본뜻이 ‘말다(ROLL)’ 이며 後에 ‘책’이나 ‘시험지’를 뜻하는 글자로 轉用되었다.이처럼 卷이 책(冊)으로 전용(轉用)되었으므로 「말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物件을 마는데 손을 사용했으므로 ‘手’ 변을 덧붙여 ‘捲’자를 만들어 냈다.그러니까 席捲이라면 자리를 둘둘 마는 것으로 ‘멍석말이’의 뜻이다.멍석을 말면 안에 있는 物件을 남김없이 거둬들일 수 있다.그래서 席捲은 ‘깡그리 차지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메달을 席捲했다’는 表現을접할 때가 있다.
 中國 全國七雄중 强國은 진․초․제(秦․楚․齊) 3국이었다.張儀는 秦을 위해 楚 懷王을 說得,양떼(齊)로 호랑이(秦)를 攻擊할 것이 아니라 호랑이와손잡고 양떼를 攻擊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은근히 脅迫했다.그러면서 秦의 無力을 치켜 세웠다.「秦의 領土는 天下의 반이 넘고 軍士는 4국을 당할 수있으며 精銳兵이 백만에다 말이 4만필….그 氣勢는 아무리 상산(常山)과 같은 험한 땅이라도 席捲하고야 말 것입니다」.과연 秦始皇은 天下를 席捲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不惑 이규 2012.12.17 1690
323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90
322 獅子喉 이규 2013.02.12 1691
321 誘 致 이규 2013.06.17 1691
3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691
319 官 吏 셀라비 2014.03.23 1693
318 膺懲 이규 2013.02.18 1695
317 雲 雨 셀라비 2013.11.02 1698
316 師表 이규 2013.02.04 1701
315 復舊 이규 2012.11.05 1703
314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03
313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07
312 破廉恥 이규 2012.11.24 1709
311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11
310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13
309 文化 이규 2012.12.03 1714
308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715
307 凱 旋 yikyoo 2014.06.11 1717
306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18
305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