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7
어제:
289
전체:
769,324

淘 汰

2013.05.28 19:52

이규 조회 수:1666

淘쌀일도
汰씻길태


 물로써 불순물이나 이물질을 가려냄

 


 匠人이 언덕(丘)에서 甕器를 감싸고(包) 있는 것이 도(陶)이다).즉 도공(陶工)이 가마에서 도기를 만들고 있는 形狀이다.언덕 대신 물이 있는 것이 淘다.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世上이 便利해져 主婦들의 일손이 한결 가벼워졌다.밥 지을 때 쌀을 일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淸潔米까지 나와 씻을 必要도 없게 되었다.그저 전기밥솥에 앉히기만 하면 된다.그러나 옛날에는 쌀에 돌이 많았으므로 반드시 우물이나 냇가에 나가 쌀을 일어야 했다.淘는 쌀을 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물로 이물질을 골라내는 것」을 뜻한다.
  汰는 팔을 벌린 사람(大)이 물가에서 돌과 같은 異物質을 골라내고 있는 形狀이 아닌가.淘보다도 더 具體的인 模樣을 하고 있다.역시 「물을 이용해 不純物을 가려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砂金을 採取하는 模襲을 聯想하면 된다.
  이처럼 도태(淘汰) 두 자는 모두 「가려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不純物이나 異物質의 立場에서 보면 「도태되는」격이 된다. 지금처럼 競爭이 熾烈한 社會에서 淘汰되지 않으려면 不純物이나 異物質과 같은 存在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勞力하는 수밖에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斟酌 [1] leekyoo 2017.07.16 4062
483 수작(酬酌) leekyoo 2017.07.12 4724
482 chemistry leekyoo 2017.07.03 5762
481 행길 lkplk 2016.07.12 5522
480 할망구 LeeKyoo 2016.07.10 4620
479 푼돈 셀라비 2015.07.14 3258
478 퉁맞다 이규 2015.06.28 3290
477 핫바지 셀라비 2015.06.25 3431
476 고명딸 셀라비 2015.06.23 3441
475 한 손 이규 2015.06.10 3690
474 이규 2015.06.08 3763
473 장가들다 셀라비 2015.06.07 3301
472 잡동사니 이규 2015.05.26 3187
471 을씨년스럽다 이규 2015.05.24 3457
470 애벌빨래 이규 2015.05.21 3267
469 선달 이규 2015.05.20 3379
468 섭씨 셀라비 2015.05.19 3265
467 삼우제 [2] 셀라비 2015.05.17 3523
466 괴발개발 셀라비 2015.05.11 3553
465 휴거 셀라비 2015.05.05 3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