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3
어제:
289
전체:
769,310

淘 汰

2013.05.28 19:52

이규 조회 수:1662

淘쌀일도
汰씻길태


 물로써 불순물이나 이물질을 가려냄

 


 匠人이 언덕(丘)에서 甕器를 감싸고(包) 있는 것이 도(陶)이다).즉 도공(陶工)이 가마에서 도기를 만들고 있는 形狀이다.언덕 대신 물이 있는 것이 淘다.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世上이 便利해져 主婦들의 일손이 한결 가벼워졌다.밥 지을 때 쌀을 일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淸潔米까지 나와 씻을 必要도 없게 되었다.그저 전기밥솥에 앉히기만 하면 된다.그러나 옛날에는 쌀에 돌이 많았으므로 반드시 우물이나 냇가에 나가 쌀을 일어야 했다.淘는 쌀을 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물로 이물질을 골라내는 것」을 뜻한다.
  汰는 팔을 벌린 사람(大)이 물가에서 돌과 같은 異物質을 골라내고 있는 形狀이 아닌가.淘보다도 더 具體的인 模樣을 하고 있다.역시 「물을 이용해 不純物을 가려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砂金을 採取하는 模襲을 聯想하면 된다.
  이처럼 도태(淘汰) 두 자는 모두 「가려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不純物이나 異物質의 立場에서 보면 「도태되는」격이 된다. 지금처럼 競爭이 熾烈한 社會에서 淘汰되지 않으려면 不純物이나 異物質과 같은 存在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勞力하는 수밖에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審判 이규 2012.10.30 1983
343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1982
342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80
341 選 良 이규 2013.08.07 1979
340 壓 卷 이규 2013.11.18 1975
339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974
338 歸 順 이규 2013.07.23 1974
337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970
336 中 國 이규 2013.09.03 1970
335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967
334 瓦 解 이규 2013.08.18 1967
333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966
332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966
331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65
330 拍 車 셀라비 2013.12.19 1962
329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958
328 輓 歌 셀라비 2014.07.15 1957
327 春困症 이규 2013.07.27 1955
326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949
325 回 甲 셀라비 2014.06.19 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