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25
어제:
257
전체:
762,427

淘 汰

2013.05.28 19:52

이규 조회 수:1550

淘쌀일도
汰씻길태


 물로써 불순물이나 이물질을 가려냄

 


 匠人이 언덕(丘)에서 甕器를 감싸고(包) 있는 것이 도(陶)이다).즉 도공(陶工)이 가마에서 도기를 만들고 있는 形狀이다.언덕 대신 물이 있는 것이 淘다.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世上이 便利해져 主婦들의 일손이 한결 가벼워졌다.밥 지을 때 쌀을 일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淸潔米까지 나와 씻을 必要도 없게 되었다.그저 전기밥솥에 앉히기만 하면 된다.그러나 옛날에는 쌀에 돌이 많았으므로 반드시 우물이나 냇가에 나가 쌀을 일어야 했다.淘는 쌀을 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물로 이물질을 골라내는 것」을 뜻한다.
  汰는 팔을 벌린 사람(大)이 물가에서 돌과 같은 異物質을 골라내고 있는 形狀이 아닌가.淘보다도 더 具體的인 模樣을 하고 있다.역시 「물을 이용해 不純物을 가려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砂金을 採取하는 模襲을 聯想하면 된다.
  이처럼 도태(淘汰) 두 자는 모두 「가려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不純物이나 異物質의 立場에서 보면 「도태되는」격이 된다. 지금처럼 競爭이 熾烈한 社會에서 淘汰되지 않으려면 不純物이나 異物質과 같은 存在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勞力하는 수밖에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釋迦牟尼 이규 2013.06.27 1752
183 箴 言 이규 2013.10.19 1752
182 黃 砂 이규 2013.07.18 1753
181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753
180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754
179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756
178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757
177 會 計 이규 2013.08.05 1757
176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757
175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758
174 妄 言 이규 2013.09.20 1762
173 獨 對 이규 2013.12.08 1763
172 破 格 이규 2013.10.07 1764
171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766
170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766
169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768
168 動 亂 이규 2013.09.16 1769
167 效 嚬 셀라비 2013.10.24 1770
166 回 甲 셀라비 2014.06.19 1771
165 問 津 이규 2013.10.25 1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