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72
어제:
289
전체:
769,249

百年河淸

2013.05.26 15:36

이규 조회 수:1470

百일백백
年해년
河물하
淸맑을청


 黃河 물 맑기를 기다리듯,  부질없는 짓


 中國 民族은 일찍이 世界 4大 文明의 하나인 黃河文明을 일으킨 民族이다.

그래서 黃河에 대해 느끼는 感情은 宗敎를 無色케 한다.

그들에게 있어 黃河는民族의 젖줄이자 어머니의 따뜻한 품속과도 같다. 그들이 黃色을 崇尙하는 것이라든지,

祖上을 黃帝라고 부르는것 등은 이들이 얼마나 黃河를 崇尙하고 있는지를 端的으로 證明해 준다.


 그러나 黃河가 그들에게 ‘文明’이라는 선물만 준 것은 아니다.

엄청난 災殃―洪水도 함께 안겨주었다. 歷史上 中國 民族은 수백번이나 洪水에 시달려야 했다.  

中國의 神話를 보면 中國 사람들이 얼마나 黃河의 洪水에 대해 悽絶하게 抵抗했었는지 잘 나타나 있다.

그 代表的인 것이 우(禹)의 ‘九年治水’다. 그래서 黃河의 물길을 잡는자가 天下를 制覇한다고 믿을 정도였다.


 黃河는 靑海省에서 發源하여 장장 5천5백㎞나 흘러 渤海灣으로 流入된다.

黃土 高原을 通過하기 때문에 매년 90억t의 물중 16억t의 土砂를 실어 나른다. 그러니 ‘물반 흙반’ 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黃河」라는 이름은 그래서 지어졌다.
 아득히 먼 옛날 周나라 때부터 黃河는 누런 색이었다. 

俟河之淸(황하가 맑기를 기다리나 한이 없고)

人壽幾何(사람의 목숨으로는 도리가 없네). 

百年도못사는 인간이 黃河의 물이 맑기를(河淸) 기다린다는 것은 부질없는 짓이다. 

그래서 百年河淸은 아무리 기다려도 가능성이 보이지 않을때 하는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出 嫁 이규 2013.12.03 1742
303 鴛 鴦 이규 2013.12.01 1936
302 持 滿 이규 2013.11.28 2138
301 猪 突 이규 2013.11.27 1996
300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817
299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865
298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19
297 問 鼎 이규 2013.11.23 2131
296 壓 卷 이규 2013.11.18 1973
295 貢 獻 이규 2013.11.16 1896
294 執牛耳 이규 2013.11.15 2049
293 角 逐 셀라비 2013.11.14 1890
292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163
291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848
290 痼 疾 이규 2013.11.07 1845
289 猖 獗 이규 2013.11.06 1822
288 物 色 이규 2013.11.05 1855
287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803
286 雲 雨 셀라비 2013.11.02 1699
285 鼓 舞 이규 2013.11.01 1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