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37
어제:
1,101
전체:
763,440

亡牛補牢

2013.05.24 21:22

이규 조회 수:1342

亡망할망
牛소우
補기울보
牢외양간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戰國時代 楚나라에 장신(莊辛)이라는 忠臣이 있었다.하루는 國王의 側近들이 나라를 그르치는 것을 보다 못해 장차 나라가 危殆롭게 될 것이라고 楚 襄王에게 간했다가 도리어 辱說만 잔뜩 듣고 말았다.
 『이 놈의 늙은이가 돌았나 보군! 故意로 험악한 말을 하여 民心을 混亂스럽게 하다니….』 『王께서 계속 그 者들을 寵愛하신다면 아마도 그런 危機는반드시 닥쳐오고야 말 것입니다.저는 趙로 몸을 숨기고 싶습니다.許諾해 주십시오.』 莊辛의 말은 的中했다.과연 그가 楚를 떠난지 5개월도 되지 않아 秦은 楚를 쳐서 크게 깨뜨렸고,襄王은 양성(陽城․현 加南省 息縣)으로 도망치고 말았다.
 後悔한 襄王은 급히 臣下를 보내 莊辛을 불러왔다.그리고는 무슨 方法이 없을까 하고 물었다.莊辛은 어이가 없다는 듯이 말했다.『토끼를 보고 사냥개를불렀다면 아직 늦지 않다고 하더군요.또 도망친 양(亡羊)을 보고 외양간을 고쳐도(補牢)아직 늦지 않다고 하더군요.』 물론 그가 한 말은 襄王의 어리석음을 비꼰 것이다.
 우리 말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俗談이 있다.부질없는 짓을 가리킬때 하는 말이다.그것보다는 有備無患과 곡돌사신(=曲突徙薪․불나기 전에 굴뚝을바로 잡고 장작더미를 옮김)의 마음가짐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27
42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395
422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19
421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737
4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584
41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443
418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386
417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356
41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533
415 蛇 足 셀라비 2014.10.24 1734
41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562
413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886
412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389
411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346
41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611
40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381
408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335
40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01
40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399
405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