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91
어제:
264
전체:
768,479

亡牛補牢

2013.05.24 21:22

이규 조회 수:1431

亡망할망
牛소우
補기울보
牢외양간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戰國時代 楚나라에 장신(莊辛)이라는 忠臣이 있었다.하루는 國王의 側近들이 나라를 그르치는 것을 보다 못해 장차 나라가 危殆롭게 될 것이라고 楚 襄王에게 간했다가 도리어 辱說만 잔뜩 듣고 말았다.
 『이 놈의 늙은이가 돌았나 보군! 故意로 험악한 말을 하여 民心을 混亂스럽게 하다니….』 『王께서 계속 그 者들을 寵愛하신다면 아마도 그런 危機는반드시 닥쳐오고야 말 것입니다.저는 趙로 몸을 숨기고 싶습니다.許諾해 주십시오.』 莊辛의 말은 的中했다.과연 그가 楚를 떠난지 5개월도 되지 않아 秦은 楚를 쳐서 크게 깨뜨렸고,襄王은 양성(陽城․현 加南省 息縣)으로 도망치고 말았다.
 後悔한 襄王은 급히 臣下를 보내 莊辛을 불러왔다.그리고는 무슨 方法이 없을까 하고 물었다.莊辛은 어이가 없다는 듯이 말했다.『토끼를 보고 사냥개를불렀다면 아직 늦지 않다고 하더군요.또 도망친 양(亡羊)을 보고 외양간을 고쳐도(補牢)아직 늦지 않다고 하더군요.』 물론 그가 한 말은 襄王의 어리석음을 비꼰 것이다.
 우리 말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俗談이 있다.부질없는 짓을 가리킬때 하는 말이다.그것보다는 有備無患과 곡돌사신(=曲突徙薪․불나기 전에 굴뚝을바로 잡고 장작더미를 옮김)의 마음가짐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如意 이규 2012.12.04 3261
443 焦眉 이규 2012.12.05 1668
442 奇蹟 이규 2012.12.06 1992
441 覇權 이규 2012.12.08 1237
440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31
43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38
438 民心 이규 2012.12.09 1564
437 同盟 이규 2012.12.10 1438
436 賂物 이규 2012.12.11 1488
435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681
434 電擊 이규 2012.12.13 1209
433 兩立 이규 2012.12.13 1544
432 不惑 이규 2012.12.17 1683
431 犧牲 이규 2012.12.18 1345
430 管轄 이규 2012.12.20 1659
429 氾濫 이규 2012.12.26 1458
428 人質 이규 2012.12.27 1577
427 籌備 이규 2012.12.28 1604
426 憲法 이규 2012.12.29 1205
425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