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14
어제:
1,101
전체:
763,317

他山之石

2013.05.21 20:00

이규 조회 수:1439

他다를타
山뫼산
之갈지
石돌석

 

 남의 나쁜 행동을 보고 자신을 바로    세움


 聖人이나 偉人들을 통해 많은 敎訓을 얻을 수 있다. 그들의 좋은 점을 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르지 못한 사람을 통해서도 우리는 배울 수가있다. 그들의 나쁜 점을 보고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孔子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세 사람이 걸어가면 그 중에는 반드시 내 스승이 될 만한 인물이있다」(三人行 必有我師).
 孔子 같은 聖人도 장삼이사(張三李四)로부터 배웠던 것이다. 비슷한 이야기가『詩經』에도 보인다. 他山之石 可以攻玉(타산지석 가이공옥,다른 산의 못생긴 돌이라도 구슬을 갈 수 있다). 하나의 구슬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옥장(玉匠)의 정성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먼저 거대한 原石을 정으로 쪼고 깨 다시 이것을 갈고 닦아서 빛을 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숫돌이다. 숫돌은 그저평범한 돌에 불과하다. 구슬로 구슬을 갈 수는 없지 않은가. 萬若 값어치 나가는 돌이라면 오히려 구슬을 가는데 이용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해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보잘것 없는 돌이기 때문이다.
  老子나 莊子가 말한 無用之用인 셈이다. 그렇다. 비록 模範이 되지 않는 남의言行도 그것을 거울로 삼아 나를 바로 잡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他山之石이 그런 경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出 嫁 이규 2013.12.03 1618
303 鴛 鴦 이규 2013.12.01 1802
302 持 滿 이규 2013.11.28 2005
301 猪 突 이규 2013.11.27 1848
300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685
299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720
298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610
297 問 鼎 이규 2013.11.23 1957
296 壓 卷 이규 2013.11.18 1827
295 貢 獻 이규 2013.11.16 1753
294 執牛耳 이규 2013.11.15 1893
293 角 逐 셀라비 2013.11.14 1762
292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028
291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723
290 痼 疾 이규 2013.11.07 1714
289 猖 獗 이규 2013.11.06 1697
288 物 色 이규 2013.11.05 1724
287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687
286 雲 雨 셀라비 2013.11.02 1565
285 鼓 舞 이규 2013.11.01 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