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7
어제:
257
전체:
762,479

他山之石

2013.05.21 20:00

이규 조회 수:1425

他다를타
山뫼산
之갈지
石돌석

 

 남의 나쁜 행동을 보고 자신을 바로    세움


 聖人이나 偉人들을 통해 많은 敎訓을 얻을 수 있다. 그들의 좋은 점을 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르지 못한 사람을 통해서도 우리는 배울 수가있다. 그들의 나쁜 점을 보고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孔子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세 사람이 걸어가면 그 중에는 반드시 내 스승이 될 만한 인물이있다」(三人行 必有我師).
 孔子 같은 聖人도 장삼이사(張三李四)로부터 배웠던 것이다. 비슷한 이야기가『詩經』에도 보인다. 他山之石 可以攻玉(타산지석 가이공옥,다른 산의 못생긴 돌이라도 구슬을 갈 수 있다). 하나의 구슬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옥장(玉匠)의 정성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먼저 거대한 原石을 정으로 쪼고 깨 다시 이것을 갈고 닦아서 빛을 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숫돌이다. 숫돌은 그저평범한 돌에 불과하다. 구슬로 구슬을 갈 수는 없지 않은가. 萬若 값어치 나가는 돌이라면 오히려 구슬을 가는데 이용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해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보잘것 없는 돌이기 때문이다.
  老子나 莊子가 말한 無用之用인 셈이다. 그렇다. 비록 模範이 되지 않는 남의言行도 그것을 거울로 삼아 나를 바로 잡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他山之石이 그런 경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672
143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09
142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283
141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70
140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894
139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729
138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420
137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633
136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498
135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684
134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791
133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01
132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37
131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194
130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562
129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752
128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167
127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865
126 沐浴 [1] 이규 2013.04.08 1891
125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