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5
어제:
289
전체:
769,352

他山之石

2013.05.21 20:00

이규 조회 수:1556

他다를타
山뫼산
之갈지
石돌석

 

 남의 나쁜 행동을 보고 자신을 바로    세움


 聖人이나 偉人들을 통해 많은 敎訓을 얻을 수 있다. 그들의 좋은 점을 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르지 못한 사람을 통해서도 우리는 배울 수가있다. 그들의 나쁜 점을 보고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孔子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세 사람이 걸어가면 그 중에는 반드시 내 스승이 될 만한 인물이있다」(三人行 必有我師).
 孔子 같은 聖人도 장삼이사(張三李四)로부터 배웠던 것이다. 비슷한 이야기가『詩經』에도 보인다. 他山之石 可以攻玉(타산지석 가이공옥,다른 산의 못생긴 돌이라도 구슬을 갈 수 있다). 하나의 구슬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옥장(玉匠)의 정성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먼저 거대한 原石을 정으로 쪼고 깨 다시 이것을 갈고 닦아서 빛을 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숫돌이다. 숫돌은 그저평범한 돌에 불과하다. 구슬로 구슬을 갈 수는 없지 않은가. 萬若 값어치 나가는 돌이라면 오히려 구슬을 가는데 이용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해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보잘것 없는 돌이기 때문이다.
  老子나 莊子가 말한 無用之用인 셈이다. 그렇다. 비록 模範이 되지 않는 남의言行도 그것을 거울로 삼아 나를 바로 잡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他山之石이 그런 경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分 野 이규 2013.05.20 1394
4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96
442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404
441 干 支 이규 2013.05.19 1404
440 赦免 [1] 이규 2013.01.27 1418
439 波紋 이규 2013.01.27 1420
438 甲男乙女 셀라비 2014.11.27 1423
437 寸志 이규 2013.02.06 1428
436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432
435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443
434 同盟 이규 2012.12.10 1444
433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446
432 園頭幕 이규 2013.02.02 1450
431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56
430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59
429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461
428 氾濫 이규 2012.12.26 1463
427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466
426 秋毫 이규 2013.02.03 1470
425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