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36
어제:
1,101
전체:
763,639

他山之石

2013.05.21 20:00

이규 조회 수:1477

他다를타
山뫼산
之갈지
石돌석

 

 남의 나쁜 행동을 보고 자신을 바로    세움


 聖人이나 偉人들을 통해 많은 敎訓을 얻을 수 있다. 그들의 좋은 점을 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르지 못한 사람을 통해서도 우리는 배울 수가있다. 그들의 나쁜 점을 보고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孔子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세 사람이 걸어가면 그 중에는 반드시 내 스승이 될 만한 인물이있다」(三人行 必有我師).
 孔子 같은 聖人도 장삼이사(張三李四)로부터 배웠던 것이다. 비슷한 이야기가『詩經』에도 보인다. 他山之石 可以攻玉(타산지석 가이공옥,다른 산의 못생긴 돌이라도 구슬을 갈 수 있다). 하나의 구슬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옥장(玉匠)의 정성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먼저 거대한 原石을 정으로 쪼고 깨 다시 이것을 갈고 닦아서 빛을 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숫돌이다. 숫돌은 그저평범한 돌에 불과하다. 구슬로 구슬을 갈 수는 없지 않은가. 萬若 값어치 나가는 돌이라면 오히려 구슬을 가는데 이용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해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보잘것 없는 돌이기 때문이다.
  老子나 莊子가 말한 無用之用인 셈이다. 그렇다. 비록 模範이 되지 않는 남의言行도 그것을 거울로 삼아 나를 바로 잡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他山之石이 그런 경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至孝 이규 2012.10.29 1965
103 發祥地 이규 2013.10.20 1974
102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74
10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83
100 改 閣 이규 2013.08.26 1985
99 苦 杯 이규 2013.08.03 1991
98 人 倫 이규 2013.07.29 1993
97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93
96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94
95 問 鼎 이규 2013.11.23 1997
94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98
93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06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2011
91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012
90 사리 셀라비 2015.04.18 2013
89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017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020
8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23
86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32
85 千字文 이규 2013.10.12 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