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9
어제:
1,101
전체:
763,582

分 野

2013.05.20 20:28

이규 조회 수:1330

分나눌분
野들야


 원래 뜻은 별자리

 

 어렸을 적 한여름 밤 마당에 멍석을 깔고 누워 별이 쏟아지는 하늘을 바라보면서 별을 세었던 記憶이 있을 것이다. 또 자기 별을 하나씩 정해 두기도 했을 것이다. 옛날 中國 사람들도 그랬다. 사마의(司馬懿)가 北斗七星의 큰 별하나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제갈량(諸葛亮)의 죽음을 눈치챘다든지,이태백(李太白)의 어머니가 胎夢에 태백성(太白星․金星)이 품안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李太白이라 이름 지은 것 등이 그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그들은 별자리를 特定 地域에도 對應시켜 생각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어떤 별자리는 어느 州,어느 나라에 속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렇게한 것은 占星術 때문이다. 별자리의 變化를 보고 吉凶을 점쳤던 것인데, 天文官은 매일 相對國 별자리의 兆朕을 銳意 觀察해 그 나라의 吉凶을 把握했다. 그러다 보니 地域別로 固有의 별자리가 하나씩은 있었다. 이렇게 해 都合 28개의 별자리를 같은 수의 地域에 所屬시킴으로써 全國을 網羅했는데 그것이 ‘分野’였다. 그래서 간혹 文學作品을 읽다 보면 特定한 地域과 별자리를 連繫시킨 경우를 보게 된다. 唐나라 初期 왕발(王勃)이 쓴 등왕각서(藤王閣序)를 보면 첫머리에… 「홍도(洪都)는 별자리로 치면 익성(翼星)과 진성(軫星)에 해당된다」고 하는 부분이 나온다.
  위에서 보듯 ‘分野’라는 말은 본디 占星術에서 비롯된 天文學的인 槪念으로 ‘별자리’라는 뜻이다. 전국을 28개 分野로 나누었듯이 後에는 어떤 事案을 나눈 것도 分野라고 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21
363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20
362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19
361 席 捲 이규 2013.05.31 1919
360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914
359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11
358 道 路 이규 2013.08.17 1907
357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905
356 奇蹟 이규 2012.12.06 1904
355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04
354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01
353 雲 集 이규 2013.08.09 1900
352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900
351 國會 이규 2012.11.07 1898
350 櫛 比 이규 2013.08.08 1898
349 花 信 셀라비 2013.08.02 1897
348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888
347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888
346 幣 帛 이규 2013.10.13 1882
345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