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76
어제:
783
전체:
770,036

喪家之狗

2013.05.15 21:05

이규 조회 수:1488

喪상사상
家집가
之갈지
狗개구


 상가의 개같은 초라한 몰골 


  ‘정승집 개’라는 말이 있다. 정승집의 개는 그야말로 ‘개팔자’다. 平素에 잘 먹고 寵愛를 받다가 죽으면 수많은 問喪客들로 門前成市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政丞이 먼저 죽기라도 하면 이번에는 또 다른 ‘개팔자’가 된다. 발에 차이고 먹이조차 제대로 먹지 못해 꼴이 말이 아니게 된다.
 여기에서 喪家之狗는 ‘초라해서 볼 품이 없는 모습’을 뜻한다. 그런데 이 말이 孔子에서 由來됐다면 놀라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萬人의 尊敬을 한 몸에 받는 그가 喪家의 개 같다면 누가 믿을 것인가. 사실 그는 不遇한 一生을 살았던 사람이다. 세번째 妾의 소생에 다 어려서 父母를 如意었으며 아내는 家出했고 아들은 자기보다 먼저 죽었다. 後에 14년 동안 무려 여섯나라를 遊說했지만 成功은 커녕 심한 苦楚를 겪기까지 했다. 한번은 鄭나라에서 遊說할 때였다. 혼자 城 밖의 東門 앞에서 서성이는데 弟子들은 스승을 찾기 위해 四方을돌아다니고 있었다.
   그때 孔子를 본 어떤 사람이 弟子 子貢에게 말했다. 『東門 앞에 어떤 老人이 하나 앉아 있더군요. 옛 聖賢과 비슷하게는 생겼지만 疲勞에 지쳐있는 模襲이 마치 喪家의 개 같아 보이더군.』 子貢이 그 이야기를 傳하자 孔子는 빙그레 웃으면서 말했다. 『내가 喪家의 개 같다고? 그럴만도 하겠지. 본디 초 상난 집에서는 개를 돌볼 틈이 없거든. 굶주린 개의 꼴이 아마도 내 모습 같았던 模樣이지. 하하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4 詭 辯 이규 2013.09.14 1876
243 包靑天 이규 2013.09.15 2219
242 動 亂 이규 2013.09.16 1931
241 自 治 이규 2013.09.18 1759
240 改 革 이규 2013.09.19 2315
239 妄 言 이규 2013.09.20 1959
238 天安門 이규 2013.09.22 1912
237 敎 育 이규 2013.09.23 2196
236 幾 何 이규 2013.09.24 2361
235 紛 糾 이규 2013.09.25 2170
234 非 理 이규 2013.09.26 1887
233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157
232 廣 告 이규 2013.09.28 3719
231 國 語 이규 2013.09.29 2495
230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232
229 邯鄲之夢 셀라비 2013.10.01 2187
228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597
227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746
226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305
225 百 姓 이규 2013.10.06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