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3
어제:
1,101
전체:
763,236

한자 法 曹

2013.08.13 20:09

이규 조회 수:1718

法 曹

무리

 

 

법을 집행하는 소송업무를 관장하는 관청

 

 

漢字가 수천년 동안 많은 變遷을 거치면서 지금의 形態定着 되었음은 누구나 안다. 그래서 最初文字인 갑골문(甲骨文)과 지금의 漢字인 해서(楷書)간에는 큰 差異가 있다.

은 본디 신양(神羊)처럼 善惡을 잘 區別한 사람을 마치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제거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의 본디 模樣은 두개의 자가 나란히 있고 그 밑에 이 있는 模襲이다. 옛날 송사(訟事)는조정(朝廷)의 동쪽에서 진행 됐다. 이 둘인 것은 원고(原告)와 피고(被告) 두 사람을 뜻한다. 곧 두 사람이 朝廷의 동쪽에 서서 시비(是非)를 논했던()데서 緣由하는 글자다. 따라서 의 본디 뜻은 소송을 맡은 관청이 되는데, 에는 官廳을 뜻하기도 했다. 朝鮮時代吏曹(이조)戶曹(호조)禮曹(예조)兵曹(병조)刑曹(형조)工曹(공조)등 육조(六曹)를 두어 國政을 다스렸다. 지금의 政府 部處該當된다.

따라서 法曹라면 執行하고 訴訟 業務管掌하는 官廳이 되는 셈이다. 지금은 그 範圍擴大되어 關係되는 모든 機關을 뜻하는 用語로 사용되고 있다. 參考로 우리의 성씨(姓氏)에서 사용하는 의 속자(俗字). 中國 사람들은 쓰지 않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58
103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21
102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501
101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36
100 膺懲 이규 2013.02.18 1589
99 杜鵑花 이규 2013.02.13 1722
98 瓦斯 이규 2013.02.12 1523
97 獅子喉 이규 2013.02.12 1582
96 名分 이규 2013.02.11 1499
95 風塵 이규 2013.02.06 1721
94 寸志 이규 2013.02.06 1347
93 師表 이규 2013.02.04 1576
92 秋霜 이규 2013.02.04 1534
91 長蛇陣 이규 2013.02.03 1534
90 秋毫 이규 2013.02.03 1382
89 菽麥 이규 2013.02.02 1519
88 園頭幕 이규 2013.02.02 1350
87 洪水 이규 2013.02.02 1389
86 刑罰 이규 2013.02.01 1538
85 所聞 이규 2013.02.01 1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