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84
어제:
315
전체:
766,832

한자 法 曹

2013.08.13 20:09

이규 조회 수:1809

法 曹

무리

 

 

법을 집행하는 소송업무를 관장하는 관청

 

 

漢字가 수천년 동안 많은 變遷을 거치면서 지금의 形態定着 되었음은 누구나 안다. 그래서 最初文字인 갑골문(甲骨文)과 지금의 漢字인 해서(楷書)간에는 큰 差異가 있다.

은 본디 신양(神羊)처럼 善惡을 잘 區別한 사람을 마치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제거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의 본디 模樣은 두개의 자가 나란히 있고 그 밑에 이 있는 模襲이다. 옛날 송사(訟事)는조정(朝廷)의 동쪽에서 진행 됐다. 이 둘인 것은 원고(原告)와 피고(被告) 두 사람을 뜻한다. 곧 두 사람이 朝廷의 동쪽에 서서 시비(是非)를 논했던()데서 緣由하는 글자다. 따라서 의 본디 뜻은 소송을 맡은 관청이 되는데, 에는 官廳을 뜻하기도 했다. 朝鮮時代吏曹(이조)戶曹(호조)禮曹(예조)兵曹(병조)刑曹(형조)工曹(공조)등 육조(六曹)를 두어 國政을 다스렸다. 지금의 政府 部處該當된다.

따라서 法曹라면 執行하고 訴訟 業務管掌하는 官廳이 되는 셈이다. 지금은 그 範圍擴大되어 關係되는 모든 機關을 뜻하는 用語로 사용되고 있다. 參考로 우리의 성씨(姓氏)에서 사용하는 의 속자(俗字). 中國 사람들은 쓰지 않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菽麥 이규 2013.02.02 1583
123 籌備 이규 2012.12.28 1583
122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82
121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79
120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577
119 頭 角 이규 2013.06.07 1574
118 侍 墓 이규 2013.06.21 1573
117 西 方 이규 2013.05.23 1572
116 名分 이규 2013.02.11 1571
115 傾 聽 이규 2013.07.03 1569
114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68
113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68
112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61
111 戰 國 이규 2013.06.09 1559
110 討 伐 이규 2013.03.17 1559
109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59
108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59
107 人質 이규 2012.12.27 1558
10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553
105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