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07
어제:
284
전체:
767,325

應接不暇

2013.05.08 06:23

이규 조회 수:1506

應응할응
接이을접
不아닐불
暇겨를가


 워낙 바빠 상대할 겨를이 없음


  應接은 응수(應酬)와 接待의 複合語이며, 暇는 ‘틈’, ‘겨를’을 뜻한다(餘暇, 閑暇, 休暇).  따라서 應接不暇는 ‘워낙 바빠 사람과 接觸할 틈이 없다’는 뜻이다.  應接無暇라고도 한다.
  山陰道는 현재 절강성(浙江省) 소흥(紹興)시의 西南 校外 一帶로 예부터 景致가 秀麗하기로 이름이 자자했다.   書藝의 聖人으로 推仰받는 王羲之는 바로 이곳 出身이다.  그는 王獻之라는 아들이 있는데 그 역시 아버지의 書藝를 익혀 一家를 이뤄 後世에 ‘二王’이라고 불린다.  그는 山陰道의 風光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山陰道는 기가 막히게 좋은 곳이다.  우뚝 솓은 산봉우리며 깊은 溪谷이 마치 屛風처럼 마치 하나씩 눈 앞에 전개된다.  그것들이 競爭하듯 서로 비치고 반짝이면서 나타나면 일일이 相對할 (應接) 겨를이 없을(不暇) 정도다.  게다가 丹楓이 물들고 하늘이 높을 대로 높은 가을이나 쓸쓸한 겨울철에 이곳에 지나가기라도 하면 아예 다른 생각을 할 겨를도 없다.”
  王獻之가 그토록 정신이 없을 정도로 應接不暇했던 것은 山陰道의 아름다운 景致 때문이리라.  아마 우리나라의 金剛山도 그것과 같지 않을까.  그러나 지금은 어디 그런가.  아름다운 絶景이 없어서라기 보다 바쁜 世上에 살다 보니 그렇다.  山積한 業務, 複雜한 人事, 이래저래 現代人은 고달프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憲法 이규 2012.12.29 1199
463 崩壞 이규 2013.01.13 1199
462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200
461 電擊 이규 2012.12.13 1201
460 變姓名 이규 2013.01.22 1212
459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219
458 葡萄 이규 2013.01.09 1220
457 覇權 이규 2012.12.08 1229
45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47
455 汚染 이규 2013.01.24 1260
454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72
453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78
45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10
451 露 骨 이규 2013.05.29 1310
450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22
449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28
448 犧牲 이규 2012.12.18 1341
447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347
446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67
445 飜覆 이규 2013.01.29 1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