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3
어제:
257
전체:
762,435

應接不暇

2013.05.08 06:23

이규 조회 수:1411

應응할응
接이을접
不아닐불
暇겨를가


 워낙 바빠 상대할 겨를이 없음


  應接은 응수(應酬)와 接待의 複合語이며, 暇는 ‘틈’, ‘겨를’을 뜻한다(餘暇, 閑暇, 休暇).  따라서 應接不暇는 ‘워낙 바빠 사람과 接觸할 틈이 없다’는 뜻이다.  應接無暇라고도 한다.
  山陰道는 현재 절강성(浙江省) 소흥(紹興)시의 西南 校外 一帶로 예부터 景致가 秀麗하기로 이름이 자자했다.   書藝의 聖人으로 推仰받는 王羲之는 바로 이곳 出身이다.  그는 王獻之라는 아들이 있는데 그 역시 아버지의 書藝를 익혀 一家를 이뤄 後世에 ‘二王’이라고 불린다.  그는 山陰道의 風光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山陰道는 기가 막히게 좋은 곳이다.  우뚝 솓은 산봉우리며 깊은 溪谷이 마치 屛風처럼 마치 하나씩 눈 앞에 전개된다.  그것들이 競爭하듯 서로 비치고 반짝이면서 나타나면 일일이 相對할 (應接) 겨를이 없을(不暇) 정도다.  게다가 丹楓이 물들고 하늘이 높을 대로 높은 가을이나 쓸쓸한 겨울철에 이곳에 지나가기라도 하면 아예 다른 생각을 할 겨를도 없다.”
  王獻之가 그토록 정신이 없을 정도로 應接不暇했던 것은 山陰道의 아름다운 景致 때문이리라.  아마 우리나라의 金剛山도 그것과 같지 않을까.  그러나 지금은 어디 그런가.  아름다운 絶景이 없어서라기 보다 바쁜 世上에 살다 보니 그렇다.  山積한 業務, 複雜한 人事, 이래저래 現代人은 고달프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11
403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413
402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18
401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19
400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20
39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21
398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25
397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26
396 割據 셀라비 2012.11.09 1430
395 兩立 이규 2012.12.13 1434
394 妥結 이규 2012.12.02 1435
393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35
392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437
391 封套 이규 2012.11.19 1439
390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39
389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43
388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446
387 跛行 이규 2013.03.18 1447
386 景福 셀라비 2012.10.31 1448
385 民心 이규 2012.12.09 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