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44
어제:
1,101
전체:
763,547

不俱戴天

2013.04.30 21:34

이규 조회 수:1396

不아닐불
俱함께구
戴머리일대
天하늘천


하늘을 함께 할 수 없는 철천지 원수

 

  不俱戴天은 ‘하늘 아래 함께 존재할 수 없다’가 되어 반드시 죽여야만 할 ‘철천지 원수’를 뜻한다.  ‘不俱戴天의 원수’라고도 한다.  中國 映畵를 보면 아버지나 스승의 怨讐를 갚기 위해 一生을 바쳐가면서 追跡해 마침내 죽이는 場面이 많이 나온다.  中國에서는 예로부터 아버지나 스승의 怨讐를 갚기 위해 復讐하는 것은 義로운 行動으로 勸獎한다.  이에 대한 名文 規定도 있다.  古代 禮義 經典이라 할 수 있는 [禮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인다.
  “아버지의 怨讐와는 함께 하늘을 일 수 없고, 兄弟의 怨讐는 집에 가서 武器를 가지고 나올 사이가 없다.  怨讐를 갚기 위해 늘 武器를 携帶해야 하며 길거리에서 보는 즉시 죽여야 한다.  또 친구의 怨讐와는 나라를 같이해 살 수 없다.   역시 죽여야 한다.”
  이처럼 끔직한 規定을 두고 있는 것은 당시 社會的인 背景과 關係가 있다.  곧 古代 中國은 氏族社會였던 만큼 血族은 가장 重視되는 人間 關係였다.  게다가 家父長制度였던 만큼 아버지의 存在는 絶對的이었다.  따라서 아버지의 權威를 繼承할 長子(자식)와의 關係, 곧 父子關係는 家庭의 骨幹으로 여겨졌으며 嚴格한 縱的인 바탕위에서 維持되어 왔다.  여기에서 强調된 것이 孝이다.  自然히 아버지를 죽인 怨讐와는 하늘을 함께 할 수 없는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妄 言 이규 2013.09.20 1830
323 破 格 이규 2013.10.07 1827
322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24
321 寒心 이규 2012.11.10 1823
320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23
319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21
318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20
31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19
316 問 津 이규 2013.10.25 1818
315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18
314 會 計 이규 2013.08.05 1816
313 獨 對 이규 2013.12.08 1815
312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14
311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813
310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811
309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10
308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10
307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09
306 動 亂 이규 2013.09.16 1809
305 黃 砂 이규 2013.07.18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