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1
어제:
257
전체:
762,473

不俱戴天

2013.04.30 21:34

이규 조회 수:1368

不아닐불
俱함께구
戴머리일대
天하늘천


하늘을 함께 할 수 없는 철천지 원수

 

  不俱戴天은 ‘하늘 아래 함께 존재할 수 없다’가 되어 반드시 죽여야만 할 ‘철천지 원수’를 뜻한다.  ‘不俱戴天의 원수’라고도 한다.  中國 映畵를 보면 아버지나 스승의 怨讐를 갚기 위해 一生을 바쳐가면서 追跡해 마침내 죽이는 場面이 많이 나온다.  中國에서는 예로부터 아버지나 스승의 怨讐를 갚기 위해 復讐하는 것은 義로운 行動으로 勸獎한다.  이에 대한 名文 規定도 있다.  古代 禮義 經典이라 할 수 있는 [禮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인다.
  “아버지의 怨讐와는 함께 하늘을 일 수 없고, 兄弟의 怨讐는 집에 가서 武器를 가지고 나올 사이가 없다.  怨讐를 갚기 위해 늘 武器를 携帶해야 하며 길거리에서 보는 즉시 죽여야 한다.  또 친구의 怨讐와는 나라를 같이해 살 수 없다.   역시 죽여야 한다.”
  이처럼 끔직한 規定을 두고 있는 것은 당시 社會的인 背景과 關係가 있다.  곧 古代 中國은 氏族社會였던 만큼 血族은 가장 重視되는 人間 關係였다.  게다가 家父長制度였던 만큼 아버지의 存在는 絶對的이었다.  따라서 아버지의 權威를 繼承할 長子(자식)와의 關係, 곧 父子關係는 家庭의 骨幹으로 여겨졌으며 嚴格한 縱的인 바탕위에서 維持되어 왔다.  여기에서 强調된 것이 孝이다.  自然히 아버지를 죽인 怨讐와는 하늘을 함께 할 수 없는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18
383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490
38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07
381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50
380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493
379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28
378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344
377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476
376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694
375 討 伐 이규 2013.03.17 1462
374 跛行 이규 2013.03.18 1456
373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223
372 杜鵑 이규 2013.03.20 2014
371 似而非 이규 2013.03.21 1471
370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617
369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450
368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08
36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462
366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440
365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