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20
어제:
289
전체:
769,297

景福宮

2012.10.28 10:22

셀라비 조회 수:2028

景 경치 경

福 복     복

宮 집     궁

 

경복궁- 조선 시대의 정궁(正宮)

 

경복(景福)에는 임금의 ‘만수무강(萬壽無疆)’과 ‘큰 福’을 祈願하는 深奧한 뜻이 깃들여 있다. 

과연 본 宮闕의 築造도 風水說에 따라 明堂 중의 明堂을 골라 자리잡았다.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卽位한지 3년째(1394)에 세운 이 宮은 우선 주산(主山)인 북악산(北岳山)아래 위치해 앞으로는 광활한 市街地가 展開되며, 그 앞으로 안산(案山)인 남산(南山)이 있고 淸溪川을 내수(內水)로, 漢江을 외수(外水)로 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좌조우사(左祖右社)의 原則에 立脚해 宮의 왼쪽에는 종묘(宗廟)가, 오른쪽에는 사직단(社稷壇-현재의 사직공원)이 있다.
  이 모든 것이 太祖가 천년의 社稷을 念頭에 두고 세웠음을 알 수 있다.

壬辰倭亂때 全燒돼 270년이 지난 1865년 大阮君 때에 와서 重建됐던 것이 日帝에 의해 다시 한번 一部가 헐리는 受侮를 당해야 했다.

그것도 모자라 근정전 앞에 總督部 廳舍를 지어 植民地 收奪의 總本山으로 삼았음은 周知의 事實이다.
  이제 民族의 歷史와 哀歡을 함께 했던 景福宮이 제 模襲을 되찾게 됐다. 수년전 옛  總督府(옛 중앙청, 중앙박물관) 첨탑(尖塔) 撤去에 이어 完全 撤去作業이 이루어진 것이다. 民族의 自尊心도 되찾게 된 셈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以卵投石 이규 2012.11.21 1129
483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138
482 香肉 이규 2013.01.25 1142
481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145
480 籠絡 이규 2013.01.15 1145
479 解體 이규 2013.01.31 1145
478 一字千金 이규 2012.11.20 1148
477 傾盆 셀라비 2013.01.31 1160
476 戰戰兢兢 이규 2012.11.25 1162
475 端午 이규 2012.11.18 1163
474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170
473 納凉 이규 2013.01.23 1174
472 輻輳 이규 2013.01.02 1178
471 食言 lkplk 2013.01.29 1178
470 伯仲勢 이규 2013.01.16 1181
469 左遷 이규 2013.01.17 1192
468 蠶室 이규 2013.01.05 1203
467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204
466 崩壞 이규 2013.01.13 1206
465 野壇法席 이규 2012.11.22 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