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2
어제:
783
전체:
770,102

景福宮

2012.10.28 10:22

셀라비 조회 수:2044

景 경치 경

福 복     복

宮 집     궁

 

경복궁- 조선 시대의 정궁(正宮)

 

경복(景福)에는 임금의 ‘만수무강(萬壽無疆)’과 ‘큰 福’을 祈願하는 深奧한 뜻이 깃들여 있다. 

과연 본 宮闕의 築造도 風水說에 따라 明堂 중의 明堂을 골라 자리잡았다.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卽位한지 3년째(1394)에 세운 이 宮은 우선 주산(主山)인 북악산(北岳山)아래 위치해 앞으로는 광활한 市街地가 展開되며, 그 앞으로 안산(案山)인 남산(南山)이 있고 淸溪川을 내수(內水)로, 漢江을 외수(外水)로 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좌조우사(左祖右社)의 原則에 立脚해 宮의 왼쪽에는 종묘(宗廟)가, 오른쪽에는 사직단(社稷壇-현재의 사직공원)이 있다.
  이 모든 것이 太祖가 천년의 社稷을 念頭에 두고 세웠음을 알 수 있다.

壬辰倭亂때 全燒돼 270년이 지난 1865년 大阮君 때에 와서 重建됐던 것이 日帝에 의해 다시 한번 一部가 헐리는 受侮를 당해야 했다.

그것도 모자라 근정전 앞에 總督部 廳舍를 지어 植民地 收奪의 總本山으로 삼았음은 周知의 事實이다.
  이제 民族의 歷史와 哀歡을 함께 했던 景福宮이 제 模襲을 되찾게 됐다. 수년전 옛  總督府(옛 중앙청, 중앙박물관) 첨탑(尖塔) 撤去에 이어 完全 撤去作業이 이루어진 것이다. 民族의 自尊心도 되찾게 된 셈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跛行 이규 2013.03.18 1585
38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85
382 討 伐 이규 2013.03.17 1589
381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589
380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94
379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95
378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95
377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98
376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98
375 西 方 이규 2013.05.23 1600
374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602
373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603
372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607
371 戰 國 이규 2013.06.09 1607
370 人質 이규 2012.12.27 1610
369 名分 이규 2013.02.11 1614
368 菽麥 이규 2013.02.02 1616
367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16
366 頭 角 이규 2013.06.07 1618
365 所聞 이규 2013.02.01 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