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84
어제:
1,101
전체:
763,387


우리는 실패를 감수하고 배우는 게 아니라 실패 덕분에 배운다.
장기적인 성공을 향해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기적인 실패는
오히려 장려할만한 일이었다.
단기에 실패하지 않으면 충분히 혁신적이지 않다는 뜻이다.
실패를 인정할 뿐만 아니라 장려해야 한다.
실패야말로 더 잘하기 위한 훈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존 카우치, ‘공부의 미래’에서

현재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합니다.
다양한 시도에서 실패 없이는 새로운 창조나 도약은 불가능합니다.
실무진에 실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더 빨리 더 작게 실패하도록 장려하는 기업,
실패를 통해 배우는 기업이 미래의 주인이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1388
2803 채근담 [1] 홍석균 2012.10.27 8188
2802 좋은 타이밍이란 없다. 이규 2012.10.27 6982
2801 채근담. [1] 홍석균 2012.10.28 8185
2800 채근담. [2] 홍석균 2012.10.29 7870
2799 채근담 [1] 홍석균 2012.10.30 6741
2798 창의성은 '머리'가 아닌 '엉덩이'싸움이다. [2] 이규 2012.10.30 5791
2797 채근담 홍석균 2012.10.31 5269
2796 거위를 살리는 방법 이규 2012.11.01 4919
2795 채근담 홍석균 2012.11.01 4891
2794 나만이 잘하는 것 [2] 이규 2012.11.01 4824
2793 채근담 [1] 홍석균 2012.11.02 4776
2792 자신을 믿어라 [2] 이규 2012.11.03 4962
2791 채근담 [1] 홍석균 2012.11.03 5109
2790 공자의 인생론 [1] 홍석균 2012.11.04 5352
2789 공자 홍석균 2012.11.05 4526
2788 공자 [1] 홍석균 2012.11.06 4701
2787 '메타포'의 힘 [3] 이규 2012.11.06 5278
2786 공자 홍석균 2012.11.07 4405
2785 세상을 보는 방법 이규 2012.11.08 4297
2784 논어 홍석균 2012.11.08 4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