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96
어제:
1,101
전체:
763,399

우리말 斟酌

2017.07.16 10:33

leekyoo 조회 수:3926

짐작(斟酌)이라는 단어도 술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혹 짐작해보신적 있나요? 
원래 도자기병에 술이 담겨 있으면 속에 든 술 양을 가늠하기 어려운 법이다. 
그래서 잔에 술 따를 때 천천히 어림잡아 따른다. 
이것이 짐작(斟酌)이다. 
짐(斟)은 ‘주저하다, 머뭇거리다’는 뜻이 있다. 
따라서 짐작(斟酌)은 ‘어림쳐서 헤아리는 것’이다.
 
사전을 보면 짐(斟)은 ‘짐작할 짐’이라는 대표 새김을 해놓고 그 밑에 ‘술 따르다’의 뜻을 덧붙였다. 
작(酌)은 ‘술 부을 작’이라 했다. 이렇게 둘 다 원래는 술을 따르는 행위이다. 
그러나 짐(斟)은 상대 술잔에 술을 조금 부족하게 따르는 행위인데 비해 작(酌)은 넘치게 따르는 일이다. 
술꾼들은 술잔에 술을 적게 따르자니 어딘가 섭섭하고, 넘치듯 가득 채우자니 뭔가 결례를 범한 듯한 느낌을 받는다.
 
따라서 상대에게 술을 따라주는 양은 짐작(斟酌)의 딱 중간이 좋다. 
모자라지도 않고 넘치지도 않게. 그래서 이 짐작(斟酌)이라는 단어는 술을 남에게 따라주는 일 이외에도 여러 뜻을 얻는다.
‘상대를 헤아려 고려하는 일, 사안의 가벼움과 무거움의 경중을 따지는 일, 
상대 또는 상황을 체크하는 일’ 등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함부로 어림짐작하지 마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40
103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46
102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46
101 發祥地 이규 2013.10.20 1947
100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52
99 改 閣 이규 2013.08.26 1954
98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61
97 問 鼎 이규 2013.11.23 1964
96 苦 杯 이규 2013.08.03 1966
95 人 倫 이규 2013.07.29 1967
94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67
93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67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81
91 사리 셀라비 2015.04.18 1983
90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84
89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85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93
8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02
86 千字文 이규 2013.10.12 2005
85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