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93
어제:
257
전체:
762,395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548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鳳 凰 이규 2013.06.22 1575
183 侍 墓 이규 2013.06.21 1453
182 周 年 이규 2013.06.20 1370
181 行 脚 이규 2013.06.19 1524
180 迎 入 [1] 이규 2013.06.18 2167
179 誘 致 이규 2013.06.17 1560
178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583
177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27
176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608
175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457
174 國 家 이규 2013.06.10 1387
173 戰 國 이규 2013.06.09 1457
172 頭 角 이규 2013.06.07 1461
171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876
170 蜂 起 이규 2013.06.05 1525
169 出 馬 이규 2013.06.04 1474
168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624
167 正 鵠 이규 2013.06.02 1518
166 席 捲 이규 2013.05.31 1839
165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