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65
어제:
286
전체:
767,099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701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쫀쫀하다 셀라비 2015.05.04 2169
463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099
462 조바심하다 셀라비 2015.04.30 2197
461 조카 이규 2015.04.21 2227
460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316
459 사리 셀라비 2015.04.18 2083
458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93
457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901
456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82
455 겻불 셀라비 2015.04.12 2218
454 돌팔이 셀라비 2015.04.10 1840
453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090
452 셀라비 2015.04.02 2246
451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994
450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065
449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910
448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045
447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143
446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275
445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