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62
어제:
286
전체:
767,096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700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55
143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315
142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70
141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52
140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83
139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818
138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18
137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725
136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73
135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778
134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67
133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63
132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725
131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291
130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660
129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831
128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272
127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46
126 沐浴 [1] 이규 2013.04.08 1986
125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