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41
어제:
305
전체:
766,474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694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614
143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14
142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609
141 長蛇陣 이규 2013.02.03 1608
140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607
139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602
138 刑罰 이규 2013.02.01 1602
137 出 馬 이규 2013.06.04 1599
136 秋霜 이규 2013.02.04 1597
135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96
134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96
133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94
132 關 鍵 이규 2013.05.14 1593
131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92
130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91
129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88
128 慢慢的 이규 2012.11.15 1584
127 瓦斯 이규 2013.02.12 1582
126 前 轍 이규 2013.06.24 1580
125 菽麥 이규 2013.02.02 1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