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50
어제:
321
전체:
765,872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682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50
443 分 野 이규 2013.05.20 1366
442 甲男乙女 셀라비 2014.11.27 1370
441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371
440 赦免 [1] 이규 2013.01.27 1373
439 干 支 이규 2013.05.19 1373
438 寸志 이규 2013.02.06 1389
437 波紋 이규 2013.01.27 1390
436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92
43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92
434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404
433 同盟 이규 2012.12.10 1406
432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406
431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15
430 園頭幕 이규 2013.02.02 1421
429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425
428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429
427 氾濫 이규 2012.12.26 1430
426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435
425 秋毫 이규 2013.02.03 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