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95
어제:
776
전체:
770,931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751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671
343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673
342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76
341 世代 이규 2012.11.13 1681
340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682
339 行 脚 이규 2013.06.19 1686
338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687
337 淘 汰 이규 2013.05.28 1691
336 觀 察 셀라비 2014.03.28 1691
335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97
334 陳 情 이규 2013.06.23 1699
333 正 鵠 이규 2013.06.02 1701
332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701
331 蜂 起 이규 2013.06.05 1705
330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711
329 管轄 이규 2012.12.20 1712
328 聖域 이규 2012.11.16 1714
327 焦眉 이규 2012.12.05 1714
326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714
325 誘 致 이규 2013.06.17 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