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8
어제:
1,101
전체:
763,591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610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食言 lkplk 2013.01.29 1106
403 飜覆 이규 2013.01.29 1302
402 解體 이규 2013.01.31 1078
401 傾盆 셀라비 2013.01.31 1071
400 所聞 이규 2013.02.01 1536
399 刑罰 이규 2013.02.01 1555
398 洪水 이규 2013.02.02 1412
397 園頭幕 이규 2013.02.02 1369
396 菽麥 이규 2013.02.02 1536
395 秋毫 이규 2013.02.03 1402
394 長蛇陣 이규 2013.02.03 1567
393 秋霜 이규 2013.02.04 1559
392 師表 이규 2013.02.04 1606
391 寸志 이규 2013.02.06 1361
390 風塵 이규 2013.02.06 1756
389 名分 이규 2013.02.11 1525
388 獅子喉 이규 2013.02.12 1611
387 瓦斯 이규 2013.02.12 1539
386 杜鵑花 이규 2013.02.13 1745
385 膺懲 이규 2013.02.18 1616